| ▲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119구급대원의 안전을 위해 구급대원 폭행피해 예방용 장비를 양천소방서 119구급대에 지급한다. 사진은 폭행 피해를 당한 여성 구급대원이 비상벨을 누르는 모습. (사진=서울시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최경서 기자] 응급 이송 도중 구급차에서 폭행에 무방비로 노출된 119구급대원을 보호하기 위해 폭행피해 예방용 장비를 지원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국내 최초로 구급대원 폭행피해 예방용 장비를 양천소방서 119구급대에 설치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설치한 '폭행피해 예방용 장비'는 경고방송과 비상벨설비 2종류다. 응급이송 중 주취자가 탑승하면 먼저 구급대원이 버튼을 눌러 경고방송을 해 주취자에게 구급대원 폭행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한다.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구급대원이 폭행의 위험에 처하면 비상벨을 눌러 구급차 운전자에게 폭행 사실을 알리고, 운전자는 즉시 정차 해 구급대원을 돕고 119광역수사대에 지원 요청하게 된다.
119구급차는 운전원과 환자처치 공간이 격벽으로 분리돼 있고, 이송 중에는 싸이렌 취명으로 구급차 내부에서 폭행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는 쉽게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폭행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이송 중에도 구급차 운전석과 환자처치 공간 상호 간에 소통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3년 간 119구급대원에 대한 폭행피해는 2016년 46건, 2017년 38건, 2018년 65건이 발생했고, 올해 3월 현재까지 8건의 폭행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구급대원 1,350명 중 여성소방공무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13.7%(185명)로, 여성 구급대원의 경우 주취자 폭행방어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양천소방서 관계자는 "이번에 구급차에 설치한 폭행피해 예방용 장비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구급대원 폭행피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개발했다"며, "폭행피해 예방용 장비를 활용, 신속한 공동대처로 폭행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