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유럽·중국·대만 등 해외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가 선제적 방역관리에 나섰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세계로컬타임즈 김동영 기자] 최근 유럽·중국·대만 등 국외에서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사례가 증가하면서 정부가 선제적 방역관리에 나섰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에 따르면 올 겨울 야생 철새 등으로 인한 관련 질병의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이에 농식품부와 지자체 점검반은 닭과 오리 등을 사육하는 전국의 모든 가금농가를 대상으로 오는 약 5개월간 단계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에서 조류인플루엔자는 지난 2018년 3월17일 마지막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오염된 출입 차량·사람 ▲야생조수류 등으로부터 바이러스 유입 등 과거 사례를 통해 조류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선 방역 시설과 소독설비의 적정운영이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을 키워왔다.
이에 농식품부는 조류인플루엔자 위험시기인 겨울철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상시 방역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전국 가금농가에 대한 일제 방역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1단계에서 국내 모든 가금농가를 대상으로 4월27일부터 7월31일까지 점검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 점검에서 방역이 미흡한 농가를 대상으로 개선 여부를 재점검한다.
점검반은 전실·울타리·그물망 등 방역시설과 소독설비 운영실태를 집중 점검해 미비점을 찾아 보완하고, 출입 차량 통제와 소독 요령 등 방역수칙 지도·홍보도 함께 실시한다.
한편, 농식품부는 가금농가 대부분이 계열화 사업자 소속인 점을 감안해 이번 점검 결과를 2020년도 가금 계열화 사업자 방역평가에 반영해 정책 자금을 차등 지원하는 등 계열화사업자의 방역 책임도 강화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가금 농가에서는 방역시설과 소독설비에 문제가 없도록 매일 자체 점검해 미흡한 사항은 즉시 보완하겠다”며 “조류인플루엔자 전파 매개체가 될 수 있는 축산차량의 출입을 최소화하고 축사별 전용 장화 착용, 진출입로에 생석회 도포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숙지하고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