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아파트 청약경쟁률이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해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관련 통계가 시작된 지난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아파트 분양 평가 전문 앱 리얼하우스에 따르면 2019년 서울 지역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28.03대 1을 기록하며 11년 만에 최고 수준을 보였다.
◆ 분양가 상한제 등 영향 분석
지난해 서울 지역에서 일반 분양된 아파트는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인 1만1,907가구로, 모두 33만3,761명의 청약자가 몰렸다.
서울권 연도별 청약경쟁률 추이를 살펴보면, 2009년~2014년 한 자리 수 경쟁률에 그쳤으나, 2015년 두 자리 수 경쟁률(평균 13.49대 1)을 기록한 이후 상승세를 타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 첫 해 평균 경쟁률은 12.31대 1로 다소 주춤했으나, 2018년 27.34대 1, 2019년 28.03대 1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 |
ⓒ 리얼하우스. |
리얼하우스 관계자는 “HUG(주택도시공사) 등에서 분양가를 사실상 통제하고 있고 고분양가 관리지역 지정 등의 영향으로 주변보다 분양가가 낮게 책정된 것이 주요요인”이라고 말했다.
지역별로 보면, 대전광역시와 세종시·광주광역시 등도 11년 만에 청약경쟁률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작년 일반 아파트 공급 물량은 18만8,612가구(전세‧임대 포함)로, 지난 2015년 36만6,613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감소하고 있다. 청약자 수는 연간 212만8,791명으로 2백 만 명 수준을 보였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