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사손보, 운전자 안전의식 조사…8명 중 1명 ‘숙취운전’
 |
▲ 경찰관이 지난달 서울 관악구 수도방위사령부 출입구 앞에서 출근 시간대 숙취 운전 음주단속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연이어 발생하는 음주운전 사고에 대체공휴일과 현충일이 포함된 황금연휴를 앞두고 음주운전 적신호가 켜졌다. 특히 전날 밤이나 이른 새벽 술을 마시고 충분한 휴식 없이 운전대를 잡는 일명 ‘숙취운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1년이내 음주경험자, 숙취운전도 잦아
악사손보(AXA손해보험)가 지난해 운전자 1,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운전자 교통안전 의식 조사’에 따르면, 8명 중 1명(12%)은 전날 음주 여부와 관계없이 운전대를 잡는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전날 또는 새벽까지 술을 마신 후 절대 운전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운전자는 전체의 38%에 불과했다. 숙취 현상이 조금이라도 있을 경우 운전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21%, 과하게 술을 마신 다음날이라면 운전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28%였다.
특히 운전자 자신의 컨디션에 따라 전날 술을 마셔도 운전하겠다는 사람이 무려 전체 운전자 중 절반인 5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다수 사람들이 숙취운전 위험성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경향은 특히 ‘1년 이내’ 음주운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실제 1년 이내 음주운전 경험자 중 42%는 전날 술을 마셔도 상관없이 운전을 한다고 답했다.
반면 음주운전 위험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주행 중 운전 습관의 위험 원인 1위로 전체 응답자 중 88%가 술을 1잔만 마셔도 위험하다고 답했으며, 술을 4잔 이상 마신 후 주행 위험성에 대해서도 95%가 위험하다고 응답했다.
 |
ⓒ악사손보. |
이어 음주운전이 미치는 교통사고 위험의 증가가 어느 정도인지 묻는 질문에서는 100% 초과(70%), 51%~100%(20%)로 답하며, 10명 중 9명은 음주운전이 교통사고 발생의 주요한 원인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로 보면 2030세대,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이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운전자들이 음주운전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92%의 운전자들은 지난 1년간 술을 한 잔 이상 마신 뒤 운전대를 잡은 경험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
이처럼 음주운전에 대한 높은 인식과는 별개로, 음주운전 교통사고의 증가와 숙취운전에 대한 인식이 낮은 점을 고려해 경찰은 오는 31일까지 음주운전 특별 단속 기간을 운영한다.
지난밤 음주 후 술이 덜 깬 상태로 운전하는 숙취운전 위험이 높은 출근시간(7시~9시), 식사하며 술을 마시는 ‘반주 후 운전’인 점심시간 직후(14시~17시) 위주로도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