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 “기본 내용에 충실히 출제”
 |
▲ 2023학년도 수능 당일인 17일 오전 서울 중구 이화여자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으로 수험생들이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17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84개 시험지구 1,370여 곳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은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수준에 맞춰 출제했다”며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함으로써 고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했다”고 밝혔다.
◆ 문·이과 통합형 체제 도입
17일 교육부·평가원에 따르면 이번 시험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국어영역(오전 8시 40분~10시), 수학영역(10시 30분~12시 10분), 영어영역(오후 1시 10분~2시 20분), 한국사 및 탐구(사회·과학·직업)영역(2시 50분~4시 37분), 제2외국어/한문영역(5시 5분~5시 45분) 순으로 진행된다.
올해 수능은 전년 대비 1,791명 감소한 50만8,030명이 지원(원서접수자 기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재학생은 지난해에 비해 1만471명 줄어든 35만239명(68.9%), 졸업생은 7,469명 늘어난 14만2,303명(28.0%), 검정고시 등은 1만5,488명(3.1%)을 각각 보였다.
특히 졸업생과 검정고시생을 합한 비율은 31.1%로, 이는 지난 1997학년도(33.9%) 이후 2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수능의 특징은 지난해에 이어 문·이과 통합형 체제가 도입, 국어·수학 영역에 선택과목이 도입됐다는 점이다. 또한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17개 선택과목을 원하는 대로 최대 2개씩 골라 치를 수 있다.
수험생들은 국어 영역에서 공통과목인 ‘독서, 문학’을 치르고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다. 수학은 ‘수학Ⅰ·Ⅱ’가 공통과목으로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한다.
영어와 한국사 영역은 절대평가로 진행되며, 특히 한국사의 경우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치러야 한다.
평가원은 이번 출제방향과 관련해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했다”면서 “대학 교육에 반드시 필요한 수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험생들은 이날 수능을 마치고, 오는 19일부터 대학별 수시전형 논술·면접고사와 정시모집 전형에 돌입한다. 수능 성적은 내달 9일 개별 통지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