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스톱 진료기관 1만개로 확대”
 |
▲ 한덕수 국무총리가 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차 확산됨에 따라 우려를 표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변이 바이러스 및 재감염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7개 권역 공동대응상황실 설치·운영
한덕수 국무총리는 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지난 14주간 감소세를 이어오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이주 들어 다시 증가하고 있다”며 “변이 검출률이 높아지고, 재감염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름 휴가철 이동량 증가 등으로 방역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정부는 의료대응체계를 보다 신속하게 빈틈없이 정비해나갈 것”이라며 “확진자가 증가하더라도 일반의료체계 내에서 안정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불려왔던 코로나19 진료기관의 명칭을 이날부터 ‘호흡기 환자 진료센터’로 통합한다. 아울러 검사 및 대면진료, 치료제 처방까지 한 번에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은 현재 6,206개에서 향후 1만 개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한 총리는 “그동안 수도권을 제외하고 지자체별로 각각 병상을 배정해 지역 간 병상 이용에 편차가 생기고, 배정이 원활하지 못했다”면서 “이에 따라 앞으로는 전국 7개 권역별로 공동대응상황실을 설치해 병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작년 말 확진자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코로나 치료 병원 350개에 지원했던 이동형 음압기, 에크모 등 의료장비들을 점검해 통합 관리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향후 재유행이 발생하더라도 의료장비들이 적재적소에 쓰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달 29일 국산 1호 백신이 품목 허가를 받았다”면서 “이로써 안정적 백신 공급이 가능해지고, 감염병 대응 역량은 한 단계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