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안전취약시설 정비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종로구 아파트 노후상가.(사진=서울시) |
[세계로컬타임즈 한성원 기자] 서울시는 매년 3월부터 시행했던 안전취약시설 보수·보강 사업을 조기에 추진한다.
12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안전취약시설 보수·보강 사업 대상지는 종로구 관내 아파트 노후상가, 양천구 관내 노후 옹벽, 동대문구 관내 노후육교를 포함해 총 21곳이다.
특히 매년 3월부터 시행했던 보수·보강 사업을 올해는 조기에 실시한다는 것이 서울시의 방침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자치구에 사업대상지 선정 1차 공모를 실시한 바 있다.
그 결과 10개 자치구에서 28곳을 신청 받아 이후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안전관리자문단(더 안전시민모임 도우미)의 선정위원회 심사를 거쳐 총 21곳을 선정했다.
사업대상지 선정은 현장조사와 시민이 참여하는 선정위원회에서 공공성, 시급성, 적절성 등이 고려됐다.
현재 ‘더 안전 시민모임’은 시민, 전문가 총 2,300명이 활동 중이다. 안전이 취약하다고 우려되는 시설에 대해 시설주변 주민 2~3명(살피미), 시설별 전담 전문가 1~2명(도우미), 시설 소재지 동장(지키미)으로 구성된다.
안전취약시설 정비 사업은 쪽방촌 등 재난 소외계층 밀집지역의 재난위험시설 및 노후 기반시설을 보수·보강하는 것이다. 지난 2012년부터 실시돼 지금까지 총 207개소를 정비했다.
서울시는 이번에 선정된 21곳 외에도 추가적으로 보수가 필요한 곳에 2차 사업 공모를 실시해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민들의 안전과 재산피해를 위협하는 위험환경이 발생되는 경우 예산을 신속히 지원해 시민들의 안정적 생활을 확보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난 소외계층이 밀집된 지역은 재난·재해 발생 시 실제 피해 체감도가 높기 때문에 생활 곳곳의 위험요인을 미리 찾아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의 위험요소를 꼼꼼히 살피고 지원사업도 확대하는 등 시민안전을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