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보안관·고화소CCTV·스쿨버스 사업 등 적극 지원
 |
▲서울시는 스쿨버스 운영을 희망하는 학교에 대한 현장조사도 진행하고,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 심사를 통해 운영이 필요한 학교를 지원할 계획이다. (사진=서울시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3월 개학과 함께 ‘학교보안관’ 등 학교 생활에서 어린이 안전을 위한 3대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학교 안팎의 안전을 담당하는 ‘학교보안관’ 을 모든 국·공립 초등학교와 특수학교에 배치하며,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는 학교 내 CCTV를 전량 100% 고화소로 교체한다. 또한, 통학 환경이 열악한 57개 공립학교엔 ‘스쿨버스’ 운영을 지원한다.
3대 정책은 전액 시비사업으로 400억 원을 투입해 학생들의 안전한 학교생활과 편안한 등·하굣길을 만들어간다는 목표로 안정적인 학사운영을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상대적으로 안전에 취약한 초등학교(국·공립)와 특수학교 597개교에 ‘학교보안관’ 1,263명을 배치했다. 학교에서 외부인 출입통제, 등하교 지도, 학교폭력 예방 등 학생들의 안전한 학교생활을 지원하는 전담인력이다.
학교당 기본 2명의 학교보안관 배치를 원칙으로 안전에 취약하거나 대규모 학교의 경우 1명을 추가 배치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그리고 서울시 초·중·고등학교와 특수·각종학교에 설치된 저화소CCTV를 내년까지 모두 고화소CCTV로 전량 교체한다. 고화소 CCTV가 학교폭력 발생 가능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고 있는 만큼, 100% 설치 완료해 학교 내 안전사고와 각종 범죄예방에 나선다.
서울시는 올해와 내년 각각 2,045대씩 교체해 내년까지 고화소CCTV 설치율 10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는 예산 약 15억 원을 편성했다.
또한, 등하굣길에 대규모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교통이 혼잡하거나 인적이 드문 곳, 통학 시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주변 통학환경이 열악한 57개 공립초등학교에 스쿨버스 운영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원 대상 학교에 버스임차비·운전자·동승보호자 인건비 등 평균 6,600만 원을 지원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3월 개학을 맞은 학생들이 올해는 확대된 등교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히 신경 쓰고 있다”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부모들이 안심하고 자녀의 교육을 맡길 수 있는 안전한 서울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