吳 “과도하고 부주의한 폭력행위 진압 위한 것” 해명
 |
▲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의 이번 용산참사 발언을 두고 시민사회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지난 2009년 발생한 ‘용산참사’에 대해 “과도하고 부주의한 폭력행위를 진압하기 위한 경찰력 투입으로 생긴 것으로, 이것이 본질”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시민사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 “피해자에게 무릎 꿇고 사죄해야”
참여연대‧언론노조는 지난달 31일 낸 입장문에서 오 후보의 이같은 발언을 규탄하고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용산참사 당시 서울시장 지위에 오 후보가 있었다는 점에 특히 분노했다.
먼저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오 후보는) 12년 전 여섯 명의 국민이 사망한 용산참사에 대해 ‘임차인들의 폭력적 저항이 본질’이라며 사건의 본질을 왜곡하고 피해자들을 모독했다”면서 “오 후보는 지금이라도 용산참사 피해자들에게 무릎 꿇고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는 “용산참사의 본질이 성급하고 무리한 개발에 있다는 것은 그 당시 사회적 성찰을 불러일으켰을 정도로 분명한 사실”이라며 “2009년 유엔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위원회에서도 용산참사에 대해 한국 정부가 비준한 ‘유엔 사회권 규약’을 스스로 훼손한 사건이라며 충분한 협의와 보상 절차가 결여된 개발 사업의 문제를 지적했다”고 밝혔다.
이어 “참사의 본질이 잘못된 개발인 만큼 세입자 등 원주민들의 이주대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고 충분한 협의가 아닌 용역 폭력으로 대응하며 속도전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방치한 당시 서울시장 오세훈 후보에게 그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용산참사 희생자들과 농성 철거민들은 호프집‧식당‧만화방‧옷가게‧당구장 등을 운영하는 평범한 임차 상인이자 세입자들이었다”면서 “철거 용역폭력에 시달리던 이들 저항을 ‘임차 상인의 폭력적 저항’으로 몰며 폭도로 규정하는 것은 서울을 더 많은 용산참사 비극의 도시로 만들겠다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언론노조는 이번 오 후보의 발언을 두고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본말전도”라고 맹비난했다.
언론노조는 “우리 조합원들은 현장 취재기자로서 뿐 아니라 서울시민으로서 2009년 1월 19일을 결코 잊을 수 없다”고 말문을 열었다.
또한 언론노조는 “본말전도는 이럴 때 쓰는 말”이라며 “남일당 옥상에 망루를 만들어 철거용역과 경찰 폭력에 맞섰던 그 순간은 사태의 결과였지 원인이 아니었다. 재개발 결정과정부터 세입자‧임차인의 의견은 조합‧시청에 철저히 무시됐으며, 그나마 법령에 적힌 권리 몇 줄조차 이들에게 통보되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재개발 지역에 살지 않는 건물주 조합, 새로 입주할 주민들로부터 얻을 세입에만 눈이 먼 서울시, 재개발 정책의 결정권자로 이 모든 것을 방치한 오세훈 당신이 바로 용산참사의 본질”이라고 비난했다.
언론노조는 “오 후보의 공약을 보자. ‘취임하면 일주일 안에 재개발 재건축 규제를 풀겠다’고 한다”며 “기가 찰 노릇이다. 용산참사의 본질이 자신인 줄 모르고 또 다시 제2, 제3의 참사를 만들겠다는 선전포고에 다름아니다. 이런 인물이 시민의 57%가 세입자인 서울의 시장이 될 자격이 있는가”라고 되물었다.
마지막으로 “오세훈 후보는 지금 당장 자신의 발언에 대해 용산참사 유가족 앞에 석고대죄하고 시장 후보를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오 후보는 지난달 31일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용산 지역 임차인이 중심이 돼서 시민단체 전국철거민연합이 가세해 폭력적 형태의 저항이 있었다”며 “쇠구슬인가 돌멩이인가를 쏘면서 건물을 점거하고 저항했다. 거기에 경찰이 진입하다가 생긴 참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