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리 정상화 기조 지속”
 |
▲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 1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한국은행)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한국은행은 내년에도 물가안정 목표인 2%를 넘어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이미 ‘고(高)물가’ 상황에 기준금리 인상이 물가안정에 상당 부분 기여할 것으로 분석하면서 조만간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 “주요국 인플레이션 장기화 인정”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주열 한은 총재는 전날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간담회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하면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2%대를 나타낼 것”이라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더이상 인플레이션을 일시적 현상이 아님을 인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미 연준은 지난 14~1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의 목표 범위를 동결하는 한편, 국채 등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규모를 당초 월 150억 달러 대비 두 배 많은 월 300억 달러로 확대키로 결정했다.
이 총재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은 글로벌 금융시장 전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우리도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면서도 “시장 예상과 크게 벗어나지 않아 국내 금융시장을 보더라도 장기금리나 주가 등 주요 금융시장 변가 별다른 변동 없이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다만 이 총재는 특히 내년 세계적인 공급 병목 현상이 물가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이 총재는 “올해는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급등 등이 물가 상승에 가장 크게 작용했다”며 “공급 병목 현상은 올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지만 내년에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내년 물가 상승률을 2%로 전망했지만 한 달 사이의 흐름을 보면 물가는 상방 리스크가 더 커 보인다”며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경제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은 시차를 두고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물가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며 “통화정책 정상화를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 경기 흐름, 물가와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필요하다는 기조는 바뀐 게 없다”고 했다.
특히 16년째 증가세를 이어온 가계부채도 기준금리 추가인상의 압박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가계부채는 8,800만 원 수준으로 1년 새 6% 넘게 증가했다.
결국 한은이 예상보다 빠른 인상 시점을 잡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이르면 내달 금리인상 결정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 총재는 “내년 1분기(1∼3월)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자는 말씀을 드린 바 있다”면서도 “1, 2월 인상 시점을 정해 놓은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 등 주요국가에서도 속속 내년 초 금리인상 기조를 밝히고 있다. 미 연준은 내년 기준금리를 세 차례 인상할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친 가운데 영국 영란은행 역시 주요국 중앙은행 중 처음 기준금리를 올리기도 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5월 사상 최저 수준이던 0.5%에서 지난 8월과 11월 두 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1%로 기준금리를 올린 바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