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강민구 대구시의회 부의장 |
‘대규모 단독주택지 관리방안 정비를 위한 온택트 주민설명회’는 대구시가 대구경북연구원에 의뢰한 ‘대규모 단독주택지 관리방안 정비 용역’ 추진과정의 일환으로 강민구 부의장 및 각 대학 교수진 등 해당 지역 주민대표 등이 참석했다.
또한, 연구추진 내용을 주민에게 설명하고 향후 진행될 주민참여 기반연구에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대규모 단독 주택지 주택의 노후화 · 주거민의 삶의 질 저하 · 거주인구 고령화에 대한 설명과 함께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
설명회 이후 주민과의 토론 시간 자리에서 강 부의장은 “해당 지역의 ‘주민의식 조사 결과’를 보면, 개선이 시급한 주거환경으로 주차 · 쓰레기 · 생활편의시설 등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공동화된 단독주택지에 빌라, 원룸 등이 들어서면서 1인 가구의 유입이 증가됨에 따라 공동체 의식이 점점 낮아지는 것이 주요 원인”이라며 “대구시의 ‘친환경 어울림 공동주택’과 ‘타운형 단독주택지’ 건설은 오히려 현실을 외면한 ‘정책의 역진현상’이다”라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이어, “현재 대구시의 대규모 단독주택지 관리 방안은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 제약과 형평성이 결여됐다는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하향을 외면하는 처사와 다름없다”며 “대구시가 지역의 균형 발전과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면 지금이라도 해당 지역의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종을 상향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 |
| ▲ 대구시의회 강민구 부의장이 ‘대규모 단독주택지 관리방안 정비를 위한 온택트 주민설명회’에 참석해 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사진=대구시의회 제공) |
한편, 대구의 대규모 단독주택지는 70년대 중반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만촌지구 · 수성지구 · 대명지구가 조성돼 전용주거지역에서 일반관리지역으로 변경됐다. 이후 2003년 ‘제1종일반주거지역(4층 이하 건축가능)’으로 종 세분화됐으나, 시민들의 아파트 선호와 외곽지 대규모 고층아파트 개발 및 외곽지로의 인구 이탈, 단독주택 점유의 하향여과, 삶터로서의 외면 등 세월의 흐름과 연쇄적 과정 속에서 노후와 쇠퇴가 가속돼 현재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