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지원 불가 원칙
 |
▲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추가지원 가능성을 일축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파산 가능성까지 언급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이미 오랜 기간 고강도 구조조정으로 대우조선해양 스스로 자산 매각 등 유동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이번 파업에 따라 내달 1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피해가 더해질 전망이다. 산은은 앞서 지난 2016년부터 대우조선해양에 무려 2조6,000억 원을 지원한 바 있다.
◆ 파업 장기화로 막대한 피해
산업은행 관계자는 22일 뉴시스에 “파업이 장기화하고 대우조선해양 정상화가 어려울 경우 파산을 검토할 수 있다”면서 “정상적인 영업 활동이 힘든 만큼 공적자금 등 원리금 회수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밝혔다.
산은은 최선의 방안이 파업 종료로 경영 정상화가 이뤄지는 것으로 전제하면서도, 파업 장기화로 인한 부실이 크게 확대되면 파산도 검토 옵션 중 하나로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막대한 지원이 이뤄졌음에도 경영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채권단은 더 이상 추가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원칙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산은 포함 채권단은 지금까지 총 4조2,000억 원을 대우조선해양에 쏟아부은 상태다.
결국 상황이 악화돼 대우조선해양이 채권단에 자금지원을 요청하고 거부됐을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법원의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법원은 계속기업가치와 청산가치를 비교해 사업을 계속할 가치가 청산할 가치보다 더 크다고 판단하면 회생절차를 시작한다.
다만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수년간 고강도 구조조정으로 인해 추가로 매각할 만한 자산이 남지 않았고, 최근 업황 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지속적인 영업손실에 시달리고 있다. 이같은 이유로 채권단 지원 없이는 버티기 힘들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한편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인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지난달 2일부터 임금 인상과 전임자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 장기화에 접어든 상황이다.
산은에 따르면 이번 파업으로 매출, 고정비 지출, 지체보상금 등 합계 손실액은 이달 말 기준 8,165억 원, 내달에는 1조3,59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