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정 효율성과 시민 편익 두 마리 토끼 노린다

[세계로컬타임즈] 김포시의회가 출범 이후 지역 현안을 풀어내며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약속했지만, 실제 성과를 두고는 시민들의 평가가 엇갈린다. 교통 인프라, 교육, 환경 등 다양한 의제를 다뤄왔으나 정책 심의 능력과 의정 활동의 투명성은 여전히 숙제로 지적된다. ‘변화와 혁신’을 내세운 시의회가 과연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포 시민들의 최대 관심사는 여전히 교통 문제다. GTX-D 노선 무산 이후 대체 교통망 확보 논의가 이어지고 있으나, 시의회 차원의 구체적 성과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지하철 5호선·9호선 연장, 김포골드라인 증차와 안전성 강화 문제는 주민 생활과 직결되는 현안임에도 예산과 정책 집행 과정에서 뚜렷한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김포 장기동에 거주하는 박모(42) 씨는 “출퇴근길은 여전히 전쟁터와 같다. 의회가 시민 목소리를 반영해 실질적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꼬집었다.
청년층과 교육 분야 지원은 김포시의회의 주요 의제다. 청년 창업 지원, 진로 멘토링, 평생학습 프로그램 확대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예산 편성의 지속성과 실효성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김포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청소년을 위한 진로 박람회 등은 의미 있었지만,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비전이 담긴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복지 분야에서도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돌봄 시스템 구축이 화두로 떠올랐다. 그러나 복지 재원 확보 방안과 공공 인력 확충 문제는 의회의 숙제로 남아 있다.
김포시의회는 시민과의 소통을 확대하겠다며 의정 보고회,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의견 수렴 등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하지만 회의 과정 공개, 자료 접근성, 정책 결정의 투명성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크다.
김포 시민단체 관계자는 “의정 보고가 단순히 형식에 그치지 말고, 정책 추진 과정과 결과까지 시민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방자치 전문가인 경기대 이모 교수는 “지방의회는 단순히 행정을 견제하는 기관이 아니라, 시민의 요구를 정책으로 구체화하는 정치적 플랫폼”이라며 “김포시의회가 실질적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집행부를 견제·협력하는 균형을 갖춰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교통·교육·환경 등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분야는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합리적 의사결정 구조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김포시의회가 당면한 최대 과제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탁상공론에 그치지 않는 정책 추진, 시민 의견 반영 확대, 전문성 강화가 핵심이다.
김포시의회는 시민들의 기대와 비판이 교차하는 기로에 서 있다. 지역 현안 해결과 함께 ‘신뢰받는 의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투명성과 소통, 정책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 시민들은 ‘말이 아닌 결과’로서 변화된 의정을 보고 싶어 한다.
세계로컬타임즈 / 오정희 기자 pin8275@naver.com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