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국 의대생들은 전날 국시거부 잠정 유보에 이어 동맹휴학 중단도 14일 결정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의대 정원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해온 의대생들이 의사 국가시험(국시) 거부와 동맹 휴학 등 집단행동을 사실상 중단했다. 다만 정책감시기구를 출범시켜 앞선 의·정 합의안에 대한 이행 여부를 감시·점검하겠다는 입장이다.
◆ "정부 의료법안 재검토 과정 지켜볼 것"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은 전날 오후 열린 대의원회 회의를 거쳐 그동안 이어온 동맹휴학 중단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의대생들은 지난달 7일 이후 투쟁을 지속한 지 38일 만에 학교로 돌아갈 전망이다.
앞서 국시 거부에 나섰던 전국 의대생들은 전날 성명에서 "단체행동을 잠정 유보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은 "정부가 의료법안을 재검토하고 진정 국민을 위한 의료 정책을 펼치는지 선배 의사들과 함께 지켜볼 것"이라면서 "정부와 국회가 잘못된 의료 정책을 강행하는 순간 재차 단체 행동에 나설 것임을 천명한다"고 강조했다.
의대협은 동맹휴학 중단의 조건으로 달았던 '보건의료 정책 상설감시기구'를 꾸려 활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이 기구는 의대협과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참여해 의·정 합의안에 대한 이행 감시는 물론, 지역의료 불균형 및 필수·기피 과목 등 의료현안 해결을 위해 운영된다.
조승현 의대협 회장은 "기존 단체행동을 넘어 더욱 능동적으로 보건의료체계를 감시해나가겠다"면서 "정부가 또 다시 국민 건강권을 위협하는 정책을 강행한다면 전 의료계와 함께 단체행동을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