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는 대덕구, ‘설비용량’은 유성구 가장 많아
![]() |
| ▲대전시 동구 한살림 물류센터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사진제공=대전시청> |
[세계로컬신문 라안일 기자] 대전시가 상업용 태양광 발전을 통해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고 민간에는 전기료 감소 등의 경제적 혜택을 돌아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 10년간 다양한 지원으로 상업용 태양광 발전사업을 유도해 2007년 이후 2017년 5월 말까지 196개 업체에 24MW 규모의 발전사업을 허가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역 내 4인 가족 기준으로 연간 6000여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생산 규모이다.
특히 민선 6기 이후 허가현황 및 설비용량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됏다. 민선 6기가 출범한 2014년 106개 사업체, 14MW 생산규모에서 3년만에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이는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태양광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신재생에너지 생산 전기에 대한 20년 장기고정 가격 입찰제(SMP+REC) 등 정부의 강력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과 태양전지 가격의 지속적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 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사업자에 대한 발전차액 지원제도(FIT)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 |
| ▲대전시 자치구의 상업용 태양광 발전 허가 현황별 및 설치 용량별 비중. <자료제공=대전시청> |
구별로 살펴보면 ‘사업체’는 대덕구가 24.5%로 가장 많았으며 중구(22.4%), 서구(20.4%), 동구(17.3%), 유성구(15.3) 순이었다.
‘설비용량’은 사업체가 가장 적은 유성구(39.3%)가 되려 40% 가까이 나타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대덕구(31.5%), 중구(11.5%), 서구(10%), 동구(7.5%)가 뒤를 이었다.
‘투자 규모’는 40KW이하 소규모 투자가 전체 사업장의 54.6%를, ‘연령대’는 1950~60년 생 베이비부머 운영 사업체가 전체 70.4%를, ‘투자 장소’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높이 받기 위해 기존 건물지붕을 활용한 사업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한살림햇빛발전협동조합, 둥근햇빛발전협동조합 등 시민참여형 태양광 발전소와 함께 동구 대전로에 소재한 물댄동산교회태양광 발전소와 같이 기존 교회건물 옥상 등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소도 새롭게 등장해 태양광 발전사업 건설부지와 참여주체가 다양화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J노믹스’로 표현되는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 중심 일자리 창출 정책에 대전 시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조만간 태양광 창업교실을 운영하고 발전사업 허가와 관련한 민원인 애로사항들을 유형화해 허가기준을 정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