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성남시 대장동 개발 특혜·로비 의혹 수사와 관련, 새로운 사실이 연이어 드러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핵심 측근인 김용 선거대책위원회 조직부본부장이 지난해 9월 대장동 비리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직무대리(전 기획본부장‧구속 기소)과 수차례 통화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유 전 본부장이 검찰 압수수색을 받기 직전 시점이다.
김 부본부장은 “사실 확인을 위해 당사자와 통화한 일은 지극히 정상적인 것”이라고 통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검찰의 선거 개입 의도가 명백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하지만 김 부본부장은 지난해 10월 말 언론과 통화에서 유 전 직무대리가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기 전 통화했느냐는 물음에 “아니다”라며 부인한 바 있어 거짓 해명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이 유 전 본부장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한 결과 김 부본부장과 지난해 9월 24, 28일 6차례에 걸쳐 통화한 내역을 확보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함께 정진상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이 유 전 직무대리와 지난해 9월 28일부터 29일 사이 8차례에 걸쳐 통화한 사실도 확보했다고 한다. 유 전 직무대리는 관련 의혹이 불거지자 지난해 9월 14일 휴대전화를 교체했고 새 기기로 이들과 통화했다고 한다.
유동규 전 기획본부장이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천화동인 4호 소유주 남욱 변호사와 같은 날 새 휴대전화를 개통한 것도 주목된다. 대장동 사건의 핵심 인물인 ‘3인방’이 동시에 휴대전화를 바꾼 것이다. 유씨는 지난 9월 29일 압수수색 며칠 전과 당일, 기계와 번호가 모두 바뀐 휴대전화로 정진상 부실장, 김용 조직부본부장 등 이 후보 측근과 통화한 게 드러난 것이다. ‘윗선’ 지시에 따른 조직적인 ‘증거 인멸’ 아니냐는 합리적 의혹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이에 대해 김 부본부장은 의혹을 부인하면서 수사 기록 유출이 사실일 경우 검찰의 선거 개입 의도가 명백하므로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반발하고 있다. 정 부실장 역시 지난해 11월 유 전 직무대리와의 통화 사실을 인정했지만 “충실히 수사에 임할 것을 당부했다”며 증거 인멸 시도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한 마디로 모두 ‘소가 웃을 일’이다. 김 부본부장은 유 전 직무대리가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기 전 통화했느냐는 질문에 왜 거짓 부인했으며, 유 전 직무대리는 관련 의혹 제기 직후 왜 휴대전화를 교체해 이들과 통화했겠는가. 서로 ‘입 맞춰’ 범죄 사실을 은닉하려는 의도가 짙은 대목이 아닐 수 없잖은가.
검찰의 수사 의지 부족을 비판하지 않을 수 없다. 황무성 전 성남도개공 사장의 녹취록에 따르면 유한기 당시 개발본부장(최근 작고)이 황 사장에게 14차례나 사표 제출을 강요하며 “시장님 명을 받아서 한 것 아닙니까”라고 했다. 현 이재명 후보의 개입 가능성을 보여주는 뒷받침이 아닐 수 없다. 이 후보는 김문기 개발1처장(최근 작고)에 대해 “성남시장 재직 땐 몰랐다”는 입장도 고수하고 있다.
검찰의 본분은 성역 없이 모든 비리와 범죄에 대해 엄정하게 법을 집행하는 데 있다. 법과 원칙의 실행을 통한 법치 구현 의지 없이 미적대고 있으니 ‘특검 도입’ 여론이 강력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