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한 통으로 상담부터 지원까지 한 번에
 |
| ▲120 홈페이지 갈무리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위기 상황에 놓인 취약가구가 전문적인 상담과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120다산콜센터와 연계한 ‘복지상담센터’를 25개 전 자치구에서 운영한다.
지난 9월 30일에 출범한 ‘복지상담센터’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직접 상담을 지원하며 위기가구에 대한 긴급상담 체계를 일원화해 지원속도를 높이고, 상담을 통해 위기가구가 제공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안내한다.
도움이 필요한 본인이나 주변의 생계가 어려워 보이는 위기 이웃을 발견했을 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120다산콜센터로 전화한 후 음성안내에 따라 3번(긴급복지, 코로나 및 행정일반)을 누르면 다산콜 상담사가 해당 자치구 ‘복지상담센터’로 연결해 긴급 복지상담을 할 수 있으며, 직접 자치구 ‘복지상담센터’에 전화해 상담 받을 수도 있다.
‘복지상담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된다.
야간이나 공휴일의 경우 120다산콜센터(24시간 운영)를 통해 상담신청을 할 수 있으며, 다음날(공휴일 제외) 전화상담을 받을 수 있다.
경제적 긴급위기 가구가 빠르게 생활이 안정될 수 있도록 서울형 긴급복지(생계비) 지원을 적극 추진(최초 상담후 4~5일내 지급예정)한다.
긴급한 위기가구에 대해서는 지원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최초 1회 생계비를 우선 지원하며, 이후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지원, 돌봄SOS서비스 등의 공적지원뿐 아니라 민간자원 등 지원 가능한 모든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
이외에도 서울시는 복지제도에 편입되지 못하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된 가구가 없도록 다양한 발굴방안을 마련하고 촘촘한 돌봄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종합적인 개선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방침이다.
의료 취약계층 발굴을 위해 병·의원, 약국 등 지역의료단체와 협업해 ‘복지상담센터’ 안내판을 설치함으로써 의약기관 방문이 잦은 사각지대 주민이 쉽게 도움받을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또한, ‘사회적 고립가구 지원센터’를 신설해 위기가구를 대상으로 복지서비스에 대한 상담뿐만 아니라 법률·금융 등 전문분야 상담을 지원하는 등 위기가구에 대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