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상북도 강성조 행정부지사 주재로 ‘인구정책 T/F’를 개최하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최영주 기자] 최근의 저출산과 인구감소 문제는 대한민국 전체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는 문제다. 경북도도 이에 대응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 달 통계청의 ‘3월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에서 경기·대구·세종만 순유입을 기록하고 경북(4,717명)·서울(3,404명)·경남(3,123명)순으로 14곳은 순유출이 기록됐다.
경북도의 인구는 2019년 말 266만 5,836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출생아도 작년에는 14,490명만 태어나 매년 10% 가량 감소하는 상황이다. 또한, 인구구조가 아동수보다 노인수가, 전입보다 전출, 출생아수보다 사망자가 늘어나면서 도 전체 고령화(‘19년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 20.6%)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경북도는 지난 4일 ‘인구정책 TF’를 긴급 소집해 저출산과 인구감소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북도는 기존의 저출산에 초점을 맞춘 ‘저출생극복 TF’를 일자리·문화·복지·자녀양육 및 평생학습 분야까지로 확대해 ‘인구정책TF’로 개편했다. 이에 인구구조변화에 대응하고 종합적인 인구정책 마련을 위해 기존 경북교육청, 대구경북연구원과 도 11개 부서에서 14개 부서 실과장으로 확대했다.
이날 회의는 강성조 행정부지사 주재로, 지난 2월 수립한 ‘2020년 경상북도 저출생 극복 시행계획’에 반영된 75개 사업에 대한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2021년 원활한 인구정책 추진을 위한 신규시책 발굴을 위해 의견을 나눴다. 또한, 뉴노멀이 된 인구감소에 적응하면서 청년인구의 유입과 유입입구의 전출을 막는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정책 마련에 집중해 진행했다.
2020년 하반기에 추진되는 주요시책으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과 ‘가족친화인증기업 육성사업’ · ‘미혼 한부모-아이행복 보금자리 주거지원사업’ · ‘임산부·영아 방문건강관리 시범사업’등이 있고, 이에 대한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또한, TF에 새로 추가된 투자유치실과 관광정책과에서는 코로나19에 의해 제조·공급망이 붕괴된 해외진출기업의 도내 유치와 관광거점도시와 연계한 청년관광기업 육성 등 일자리 창출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문화예술과와 교육정책과에서도 도민들의 마음치유 공연을 확대하고 100세 시대에 맞춘 경북형 도민대학 모델 구축 등 전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시책과 사업별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저출산 극복시책으로는 ‘청춘남녀 경북에 살으리랏다’와 ‘천년숲 다목적 웨딩가든 조성사업’ 등 청년들의 자연스러운 만남 추구(자만추)와 자연친화적인 결혼 문화를 반영한 신규시책을 선보였다.
강성조 행정부지사는 “젊은 세대가 결혼·출산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 해소를 위해 일자리와 정주여건 개선이 시급하다”며 “수도권으로 가지 않아도 일자리가 있고 아이 키우기 좋으며 여가생활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경북 만들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