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조 자산 보유…필요시 정부 지원”
 |
▲ 정부가 새마을금고 위기설과 관련해 사태 진화에 나섰다. 서울 도심 전광판에 새마을금고 관련 광고가 보이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부실한 새마을금고 관련 구조조정 예고에 위기설이 감지되자 정부가 진화에 나섰다. 새마을금고 스스로 충분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필요시 정부가 직접 유동성 지원에 나서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은 ‘범정부 대응단’을 꾸리고 새마을금고 사태 진화에 나섰다.
◆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열어 “최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그러나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타 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예금자보호기금이 설치돼 1인당 5,000만 원까지 예금자보호가 이뤄진다. 일부 금고가 인수합병된다 해도 5,000만 원 초과 예·적금을 포함해 고객 예·적금은 원금·이자 모두 100% 이전돼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피합병 금고의 자산부채 전액은 그대로 새로운 우량 금고로 이관된다. 특히 기존 금리·만기 등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새로운 금고에 이관·보호된다는 것이다.
한 차관은 “창설 60년 역사 이래 크고 작은 위기는 있었지만 새마을금고가 예금을 지급하지 못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면서 “새마을금고는 안전하다.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상환준비금은 총 77조3,000억 원, 예금자보호준비금은 2조6,000억 원에 달한다.
한 차관은 “중앙회 대출, 금고간 거래 등으로 유동성 지원이 가능하다”며 “필요시 국가와 공공기관, 여타 금융기관으로부터도 차입을 통해 지급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범정부 위기대응단은 유사시 이미 마련된 ‘컨틴전시 플랜’을 차질 없이 진행할 것”이라면서 “필요시 정부 차입 등을 통해 충분한 유동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컨틴전시 플랜은 총 3단계로, ▲1단계는 금고가 예치한 여유자금 지급 ▲2단계는 상환준비금 지급 ▲3단계는 중앙회 대출 지원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정부는 새마을금고의 ‘뱅크런(예금주들이 한꺼번에 예금을 인출하는 현상)’에 대비해 중도해지자가 재예치할 경우 비과세 혜택을 유지하는 방안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정기간 내 재예치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혜택을 원상복구하겠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