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로고. |
[세계로컬신문 김수진 기자] 조선업 위기 극복을 위해 5개 시도가 공동 건의문을 논의했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최근 조선업 위기로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맞고 있는 지자체들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았다.
산업부와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해양수산부, 중소기업청, 금융위원회 등 조선업 관계부처가 7일 세종정부청사에서 조선업 밀집 지역인 부산과 울산, 전북, 전남, 경남 등 5개 시도 관계자와 함께 시도 공동건의문을 논의했다.
이 회의는 지난해 관련 수주가 끊기면서 조선사 및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구조조정과 인력감축 가속화로 인한 실업 및 지역경제 침체가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위기를 인식하고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동의 해법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주요 논의 내용은 관공선 교체(LNG 추진선) 추진 국비 지원과 중소형 조선소 선수금환급보증 발급 완화, 조선업 특별고용지원 업종 지정 연장, 조선업 구조조정 지원 특례보증 확대, 정부 정책자금 상환유예 및 만기연장 지원, 조선업 보완 지역 먹거리산업 육성 지원, 조선밀집지역 사업다각화 집중 지원 등에 대한 내용이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한국이 수주량 세계 1위를 달성한 만큼 이를 계기로 조선업 위기극복을 보다 강력히 추진하겠다"며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방안에 따라 올해 사업다각화 5대 지원패키지에 2400억원의 국비를 투입해 연내 200개사 이상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1월 말 기준 5개 조선밀집지역에 신규 민간투자 계획이 올해 4조원 포함해 2020년까지 총 15조원이 발굴된 만큼 조선밀집지역 내 민간 투자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2017년 추경을 통해 조선업 퇴직인력 교육 및 재취업과 기자재 국제인증 및 수출, A/S망 구축 지원과 친환경·스마트 선박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 등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선도산업으로 조선업을 육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