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부터 2주간 진행
 |
▲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3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이 오늘(3일)부터 2주간 조합원 최대 50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에 나선다. 이들은 정부의 노동탄압에 거세게 반발하며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 정부, 불법 규정…“엄정 대응”
3일 노동계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이날부터 산별노조인 서비스연맹의 특수고용직(특고) 노동자 파업 대회를 시작으로 서울을 포함한 전국에서 총파업 투쟁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양경수 위원장 등 민주노총 집행부는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총파업 개시를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이번 총파업 투쟁은 윤석열 정부의 반(反)노동 정책을 규탄하고 정권 퇴진을 관철하기 위한 목적이다. 민주노총은 ▲ 윤석열 정권 퇴진의 대중적 분위기 확산 ▲ 최저임금 인상·‘노란봉투법’ 입법, 일본 핵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등 현안 관철 ▲ 노조 탄압과 노동개악, 친재벌·반노동 폭주 저지 ▲ 총선 앞두고 노동자 정치 세력화 등을 투쟁 목표로 삼았다.
특히 민주노총은 정부의 반노동 정책이 도를 넘었다는 판단이다. 앞선 ‘주69시간제 논란’ 등 근로시간 개편을 비롯해 건설노조 중심의 노조 탄압, 노조 회계자료 제출 요구 및 과태료 부과, 집회·시위의 금지 및 제한 등을 문제삼고 있다.
양 위원장은 지난달 28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민주노총)가 총파업에 나서는 이유는 모든 영역에서 퇴행하고 있는 현실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절박함 때문”이라며 “7월 총파업 투쟁은 윤석열 정권과의 전면적인 싸움의 첫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이번 총파업에 약 120만 명의 조합원 중 40만~50만 명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번 총파업으로 일반 국민들이 겪는 불편에 대해선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양 위원장은 “총파업이 2주간 진행되지만 대부분 산별이 하루 또는 이틀 정도에 그칠 것”이라며 “따라서 시민들이 직접적으로 느끼는 어려움이나 불편함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총파업 기간인 4일·7일·11일·14일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전국 시도별 촛불집회도 연다. 촛불집회는 근로자 퇴근 시간에 맞춰 해당일 오후 7시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이번 총파업을 ‘불법 투쟁’으로 규정,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달 26일 “민주노총은 지금이라도 국민의 불안과 불편을 초래하는 파업 및 대규모 집회를 자제해야 한다”면서 “정부는 불법 행위에 대해 노사를 불문하고 끝까지 책임을 물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