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격리 의무서 ‘권고’ 변경
대다수 장소서 마스크 해제
 |
▲ 정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사실상 코로나19 엔데믹을 추진한다. 30일 광주 북구 상시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변경되는 확진자 격리의무 안내문을 붙이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최대 2만 명대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정부는 유행 안정세로 판단하고 내일(6월 1일)부터 사실상 엔데믹(풍토병화)을 추진, 대부분의 방역조치를 해제한다.
◆ 코로나19 마지막 중대본 회의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지막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3년4개월 만에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세계적 유행)을 극복하고 중대본 운영을 마무리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오는 6월1일 코로나19 위기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하고 본격적인 엔데믹 추진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코로나19 대응을 총괄해온 중대본은 이날부로 해산된다.
이같은 정부 방침에 따라 내달 1일부터 코로나19 방역조치 대다수가 해제된다.
우선 확진자 7일 격리의무는 5일 권고로 변경된다. 또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및 입소형 감염취약시설을 제외한 모든 장소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해제된다. 휴일을 제외하고 매일 발표해온 코로나19 일일 현황 통계도 ‘주’ 단위로 바뀐다.
아울러 입국 뒤 3일차 유전자증폭(PCR) 검사 권고도 종료된다. 격리의무가 사라진 확진자는 지정 의료기관이 아닌 모든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받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격리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생활지원비·유급휴가비 지원을 한시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확진 판정을 받은 학생의 경우 해당 기간 결석이 아닌 ‘출석’으로 인정한다.
박 총괄조정관은 “안정적인 방역상황을 달성하고 소중한 일상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 가능했다”며 “특히 오랜 기간 생업의 어려움을 무릅쓰고 정부의 방역 정책에 협조해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다만 “코로나19 위협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앞으로 상당 기간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야 한다”면서 “피해를 최소화하고 고위험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 기침 예절, 환기 등 개인방역수칙을 계속 잘 지켜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