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총리 “남은 방역규제 논의 시작할 것”
 |
▲ 한덕수 국무총리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대본 회의 및 봄철 산불 대응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국무조정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최근 국내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안정적’으로 판단하고, 한·중간 항공편 확대 등 일상 회복으로의 속도를 높이고 있다.
◆ 봄철 빈번한 산불 경계
한덕수 국무총리는 17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및 봄철 산불 대응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면서 “정부는 안정된 방역상황과 의료대응 여력을 감안해 일상 회복의 폭을 지속적으로 넓혀가겠다”며 “(중국발 입국자의) 입국 전·후 PCR 검사, 도착공항 일원화 등 이달 28일까지로 예정된 나머지 방역조치에 대해선 다음 주 종료 여부를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확연하게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며 “지난해 12월 겨울철 재유행 정점 이후, 일평균 확진자 수는 8주 연속 감소해 1만 명대를 유지 중이고 위중증 환자 역시 안정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정부는 현 추세가 이어질 경우, 코로나19 위기경보단계 하향과 감염병 등급조정, 7일 격리의무 전환, 마스크 착용 전면해제 등 남은 방역규제들에 대한 논의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코로나19 안정세와 맞물려 항공편 확대도 시행된다.
이와 관련, 한 총리는 “현재 주 62회인 한·중 간 국제선 항공편을 이달 말까지 주 80회로 늘리겠다”면서 “다음 달부터는 양국 합의 수준인 주 100회까지 단계적으로 늘려나가고 추가 증편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봄철 산불이 빈번한 점을 감안해 대응 조치를 강화해나간다.
한 총리는 “산불은 봄철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 등으로 산행인구 증가가 예상돼 산불 우려도 커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한층 더 경각심을 갖고 산불 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산불은 대부분이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 담뱃불 등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다”며 “산림청, 소방청, 지자체는 산림지역 소각금지, 드론·무인 카메라를 활용한 산불 감시, 위험지역 입산 통제 등 예방 활동을 대폭 강화하고 입산객, 지역주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안내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산불 발생 상황에 대비해 진화인력과 장비 관리를 철저히 하고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을 통해 헬기 진화 등 빈틈없는 초동대응에 만전을 기울여달라”며 “국민 여러분도 외출이나 산행할 때 산불 예방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봄·겨울철은 건조기후 등으로 문화재 화재 70%가 발생하는 만큼, 보다 각별한 주의와 세심한 예방관리가 중요하다”며 “문화재청 등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긴밀히 협조해 우리 문화유산 곳곳을 세심하게 살피고 예방 및 대응체계를 철저히 점검해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