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5천여 소매점 앞세워 종합 유통사 발돋움
 |
▲ 종합 유통사로 거듭날 통합 GS리테일이 내달 1일 출범한다.(사진=GS리테일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편의점·슈퍼마켓·온라인몰·홈쇼핑 사업 등을 영위하는 통합 GS리테일호가 내달 1일 출범한다.
30일 GS리테일에 따르면 이번 통합 법인 출범으로 △1만5000여 오프라인 근거리 소매점 △10여개의 디지털 커머스 △취급액 1위의 TV홈쇼핑 △전국 40만㎡ 규모의 60여 물류 센터망을 보유한 종합 유통 회사로 발돋움하게 된다.
통합 GS리테일의 외형 규모는 연간 매출액 약 10조 원으로 국내 주요 상장 유통사 기준 3위권이며, 영업이익은 4000여억 원으로 1위다.(20년 GS리테일과 GS홈쇼핑 실적 합산 기준) 시가총액은 29일 장 마감 기준으로 GS리테일과 GS홈쇼핑 합산 시 약 3.8조 원으로 2위다.
GS리테일은 15.5조 원 수준의 현재 연간 취급액을 2025년까지 25조 원까지 달성한다는 목표다. 사업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5년간 디지털 커머스, 인프라 구축, 신사업 등 영역에 총 1조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GS리테일의 차별화 핵심 역량은 1만5000여 소매점 인프라다. GS리테일은 이를 격변하는 유통 환경에서 중요도가 높아지는 퀵커머스 플랫폼과 도심형 마이크로풀필먼트(세분화된 주문~최종 배송까지의 과정)의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다른 GS리테일의 강점인 신선·가공·조리 식품의 소싱 역량을 다양한 분야 10여 개 디지털 커머스와 연계, 취급액 약 4.5조 원 수준의 현재 디지털, 방송 커머스를 25년 10.7조 원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GS리테일은 오는 7월 1일부터 조직을 기존 플랫폼BU(Business Unit) 중심에서 디지털커머스BU와 홈쇼핑BU 등 크게 3개 사업 영역으로 확장·재편해 영역별 경영 전문성을 더하는 한편, 상호 시너지도 연계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배달 서비스 ‘부릉’을 운영하는 메쉬코리아의 지분을 인수하고, 우딜 앱(배달 전용 앱)을 론칭하는 등 주요 사업 단위를 오프라인 소매점을 비롯한 주요 사업들과 고객을 연결하는 퀵커머스 플랫폼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허연수 GS리테일 대표는 “전국 1만5000여 오프라인 플랫폼과 디지털, 홈쇼핑 커머스를 결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유통사는 GS리테일밖에 없을 것”이라며 “회사가 보유한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경계가 허물어지는 유통 시장 환경에 온·오프 커머스 통합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 가치 제공을 실현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