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846개 아파트 단지 에너지 소비현황 전수조사해 맞춤 절약 컨설팅
적정 전기요금 제도 및 검침일 변경, 공용부문 조명 LED 교체 등 꿀팁 제시
 |
| ▲ 서울에너지설계사는 공용 전기요금은 물론 각 세대별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무료 컨설팅을 제공한다. 사진은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함. (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시민들이 전기요금 등 아파트 관리비를 절감하고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도록 ‘서울에너지설계사’를 통한 무료 에너지컨설팅에 나선다.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인한 냉방기 사용과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가정 내 에너지 비용 부담이 높아짐에 따라, 시민들이 조금이라도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새는 전기요금을 찾아내 아파트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서울시 아파트는 총 3,846개 단지 163만 세대로 구성돼 있으며, 서울시민의 42.8%가 아파트에 살고 있다.
아파트에서 소비하는 전기는 연간 약 6,273GWh 규모로 이는 석탄발전소(1GW급)가 1년 동안 생산하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서울에너지설계사’는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상점 등의 시설의 에너지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전기‧가스 등 에너지를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무료로 컨설팅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서울에너지설계사’가 서울시내 총 3,846개 아파트 단지를 직접 방문해 에너지 소비현황과 계약방식을 전수조사하고, 똑똑한 아파트 관리비 절감법을 컨설팅한다.
지난 4월부터 조사를 시작해 현재 2,687개 아파트 단지를 완료했으며, 나머지 단지도 이달 말까지 모두 완료할 계획이다.
아파트의 전기‧수도‧난방 사용현황과 계약방식, 검침일, 친환경시설, 기기설비 등을 조사하고, 결과에 따라 공용 전기요금은 물론 각 세대별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적정 검침일 변경, 지하주차장 등 공용부문 LED조명 교체, 고효율 펌프 교체, 1등급 전자제품 및 친환경보일러 사용 등 다양한 꿀팁을 제시해준다.
여름철 전력사용은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검침일이 15~17일인 아파트는 주택용 누진제로 인해 더 많은 전기요금을 낼 수 있다. 서울에너지설계사는 검침일이 15~17일인 아파트(조사완료 2,687개 중 426개 단지)를 방문해 유리한 검침일을 설명하고 변경 방법 등을 안내할 예정이다.
특히, 아파트 단지는 일반 주택과 달리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설비 등이 있어 계약을 통한 전기요금 제도를 사용하는데, 계약방식만 바꿔도 전기요금을 연간 1억 이상 줄일 수도 있는 만큼 컨설팅을 통해 계약 변경을 권유할 계획이다.
아파트 단지의 전기요금 계약방식은 ▴단일계약 ▴종합계약 ▴호별계약으로 나뉜다. 주택용 고압단가를 적용받는 ‘단일계약’이 세대‧공용 각각 다른 단가를 적용받는 ‘종합계약’에 비해 저렴한 경우가 많다.
이에 시는 종합계약을 사용하는 단지(조사완료 2,687개 중 721개 단지)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계약방식에 따른 요금 비교 등을 컨설팅하고, 단일계약 방식으로 변경을 권유할 예정이다.
예컨대, 종합계약 방식을 사용하는 강서구 ○○아파트(643세대)의 전기요금을 분석한 결과 단일계약을 사용했다면 2020년에는 연간 약 3,376만 원, 2021년에는 연간 4,310만 원을 절감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구 △△아파트(4,066세대)도 종합계약에서 단일계약으로 변경 시 연간 1억 5,000만 원 이상 전기요금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