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 101곳, 각국 주한 대사관 앞에서 항의시위
 |
▲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이 높아진 가운데, 국내 시민사회에서 유엔의 적극적 동참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달 1일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두 달여가 흐른 가운데 수많은 시민들이 미얀마 군경 총칼에 목숨을 잃어가고 있다. 미얀마 군의 날인 지난 27일 하루에만 최소 114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최근 국제연합(UN‧유엔)이 의장 성명을 통해 미얀마 군부를 강하게 규탄했으나 중국‧러시아‧인도‧베트남 등 반발로 원안 대비 강도가 크게 후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사태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미얀마 군부 규탄의 목소리를 내온 국내 시민사회는 이에 더해 이들 4개국의 행태를 지적하고 집단 행동에 나선다.
◆ 관련 사망자 500명 넘어
참여연대‧민변 등 101개 시민단체가 모인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이하 시사모)은 31일 자료를 내고 주한 중국‧러시아‧인도‧베트남 대사관 앞에서 이날 오후부터 내달 1일까지 릴레이 1인 시위를 진행한다.
미얀마 사태가 점차 악화되면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적극적 조치가 중요해졌음에도 이들 4개국이 막아서고 있다는 것이다.
앞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고강도 폭력이 자행되고, 수많은 사람이 살해되며, 정치범 석방 요구가 거부당하고, 나라가 민주화 전환기로 되돌아가게 만드는 것은 결단코 용납될 수 없다”면서 유엔 안보리를 긴급 소집한 바 있다.
이에 안보리 15개 이사국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의장성명을 내고 미얀마 군부에 ‘극도의 자제’를 촉구했다. 안보리는 그동안 미얀마 군부 쿠데타 이후 감금된 아웅산 수지 국가고문 등에 대한 석방을 촉구하며 미얀마의 민주주의 전환을 지지해왔다.
다만 이번 성명은 중국 등 4개국 반대로 크게 후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영국이 주도한 성명 초안에는 미얀마 군부 폭거를 쿠데타로 규정, 유엔 헌장에 명시된 추가 제재 등을 다룬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 인도, 베트남 등이 줄줄이 반대하면서 결국 최종안에서 이 부분은 삭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사모는 “(미얀마) 상황을 바꾸기 위해 국제사회가 더 전념하기 위한 방책을 찾기 위해 러시아, 중국을 포함한 15개 이사국의 합의가 절박한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이들 4개국은) 미얀마 쿠데타 문제에 대해 안보리의 적극적 조치를 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미얀마 현지에서는 현재 군‧경의 유혈 진압으로 사망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에도 시민들의 쿠데타 반대 시위는 여전히 사그라들지 않는 상황이다. 지난 30일 기준 관련 사망자 수는 5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