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매체 “尹, 韓국민 설득한다고 말해”
대통령실 “국민 안전 최우선…수입 결코 없어”
 |
▲ 일본방사성오염수방류저지공동행동과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지난 10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관련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로 파생된 오염수 방류를 두고 한일간 입장차가 확연한 가운데 최근 열린 한일정상회담 이후 이상 기류가 감지된다.
◆ 日 오염수 해양방류 임박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30일 윤석열 대통령이 방일 당시 일본산 수입금지 조치 해제를 일본 측 인사로부터 요구받았다는 내용의 일본 현지매체 보도와 관련해 “후쿠시마산 수산물이 국내로 들어올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산 수산물 수입과 관련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정부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도 했다.
이런 대통령실의 해명은 지난 29일자 일본 매체 보도로부터 비롯됐다.
앞서 일본 교도통신은 윤 대통령이 지난 17일 도쿄에서 열린 스가 요시히데 전 총리 등 초당파 일본 의원들의 모임인 일한의원연맹 소속 의원들과의 간담회 자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 문제와 관련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국 국민들의 이해를 구해나가겠다”고 말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낸 바 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는 (방류를) 이해하는 것을 피해 온 것 같다”면서 “일본에 대한 문 전 대통령의 정치적 입장 때문에 일본 측 설명이 한국에 충분히 전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프로세스를 통해 한국 정부가 실태를 알 필요가 있다”며 “일본 정부가 좀 더 이해시키는 노력을 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교도통신은 “(오염수 방출과 관련해) 한국의 우려는 크지만, 윤 대통령이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의 회담에서 합의한 관계 정상화를 목표로 하겠다는 자세를 보인 것”이라며 “이웃나라인 한국이 (오염수) 이해로 돌아서면 기시다 정권에 강력한 뒷받침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그동안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와 관련 ‘유보적’ 입장을 견지해왔다. 일본 측은 다핵종 제거설비(ALPS)로 대다수 방사성 핵종을 제거할 수 있다면서 오염수가 아닌 ‘처리수’로 선전하고 있으나, 이 설비로는 방사성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를 걸러내지 못한다는 국제사회 우려가 여전히 크다.
실제 중국과 러시아는 이달 진행한 정상회담 이후 일본 오염수 방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런 국제사회 우려에도 일본 정부는 이르면 4월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 저장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해양방류를 개시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