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사이버대학 평생교육 활성화
 |
▲ 교육부는 향후 3년 간 원격대학의 수업 질 제고를 위해 국고를 투입할 방침이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박병오 기자] 정부는 원격(사이버)대학들의 수업 질 제고를 위해 국고를 투입할 방침이다. 사이버대학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학습 모델 개발을 위한 지원이다.
교육부는 24일 이런 내용의 ‘2021년 원격대학 교육혁신 지원 사업’에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부산디지털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 등 4개교를 선정하고 3년간 국고를 투입한다고 밝혔다.
앞서 전국 사이버대학은 고등교육법을 근거로 설립된 바 있다. 지난해 4월 기준 전국에 19개교가 운영되고 있다. 정원 외 포함 현재 10만8428명이 등록돼 수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국내 코로나19 확산 이후 원격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비대면 교육 요구가 커지면서 관련 특성화 모형 개발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이에 다년간 예산을 직접 지원하는 것은 최초 사례다.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발표한 국가 평생교육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성인 온라인 학습자 수는 2015만2690명으로 전년 대비 6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해당 사업을 올해부터 3년간 운영하며, 사업 기간 선정된 4개교에 국고 연 평균 3억5000만원씩 지원할 계획이다. 다만 마지막 1년은 평가에 따라 지원액 변동 가능성이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다양한 원격교육 모형을 보급해 성인 학습자의 원격교육 수요 확산에 대비할 것”이라면서 “융합교육 기반을 조성해 성인의 사회 맞춤형 교육 기회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앞서 교육부는 지난 2월 이번 사업 기본계획 공고 등 절차를 거쳐 원격대학 19개교 전체를 대상으로 제안서를 제출받은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작년 원격대학 인증·역량 진단 결과를 반영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