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오는 17일 전국 의사대표자 회의 긴급 소집
 |
▲ 이필수 대한의사협회장이 지난 7월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2023년도 임시대의원총회에 참석해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가 1,000명 이상 규모의 전국 의대정원 증원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이에 대해 의사단체는 총력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의정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 정부 확충안 1000명+α 규모 알려져
16일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에 따르면 오는 17일 전국 의사대표자 회의를 긴급 소집하고, ‘강경’ 기조의 공식 입장을 채택한다. 이 회의에는 의협 산하 전국 시도 16개 의사회장, 대한전공의협의회, 공중보건의사협의회, 대한개원의협의회 회장단 등이 참석할 계획이다.
정부는 오는 19일 필수의료혁신 전략회의를 열고 의대 정원 확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힐 전망이다. 증원 규모는 기존 알려진 300명~500명 수준을 넘어 1,000명 이상도 검토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의대정원 증원으로 의료 현안인 응급실 뺑뺑이, 피부과·성형외과 등 특정과 쏠림 현상 등이 일정부분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반면 의협 등 의사단체들은 전혀 합의되지 않은 사안이라며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의협 대의원회는 이날 성명을 내어 “단순히 의대 정원을 늘리려는 정치적 발상은 선진 의료를 망가뜨리고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정원 확대가 사실이라면) 협회와 전 회원은 가용한 모든 수단으로 총력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에 뜻을 모았다”고 했다.
앞서 의료계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정부가 의대 정원 확충과 공공의대 설립 추진 방안에 대해 전공의를 포함한 의사들이 총파업과 집단 휴진을 벌이며 저지한 바 있다.
특히 의사단체는 최근 일련의 필수의료 붕괴 사태의 원인은 의사 부족이 아닌 특정 지역, 특정 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라며 강한 반발의식을 가지고 있다.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전향적인 대책을 제외한 채 포퓰리즘식 의대정원 증원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