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및 어린이 통학차량 전기차 전환 지원 강화
 |
▲ 서울시는 환경개선효과가 높은 대중교통(버스택시) 및 배달용이륜차 등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이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이호 기자] 서울시는 하반기 전기차 보급 예산 1,219억 원을 추가로 확보해 오늘 28일부터 11,201대를 추가 보급한다.
이번 추가예산확보로 지난 상반기 11,779대와 함께 올해만 총 22,980대의 전기차를 보급한다.
서울시는 지난 상반기 전기차 보급예산으로 1,419억 원을 확보해, 지난 2월부터 전기차 11,779대를 보급 중에 있다. 7월 15일 현재 79.3%가 접수된 가운데, 특히 전기승용차 및 전기화물차는 100% 접수가 완료된 상황이다.
전기승용의 경우 다양한 신차 출시로 하반기 사전계약 대수가 2만대, 실제 생산가능 대수가 1만대 이상이나 상반기 보급물량은 이미 접수 완료돼 하반기 추가 보급이 없을 시 전기차 구매자가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예상돼 추가 예산 확보에 나섰다.
하반기 보조금 신청접수는 28일부터 환경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을 통해 받는다.
다만, 전기화물차의 경우에는 8월 4일부터 신청접수를 받는다.
전기화물차는 장애인‧차상위 이하계층 등 취약계층에 대한 기회 확대와 전기화물차 보급이 기존 노후경유차 대체 구매로 이어져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감축을 극대화하고자 우선순위 물량을 기존 10%에서 40%로 상향했다. 또한, 별도 100만 원을 추가 지급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전기이륜차의 경우 미세먼지 개선 및 주택가 소음저감 효과가 큰 배달용 전기이륜차 집중 보급 등을 위해 우선순위 물량을 기존 10%에서 50%로 상향했다. 또한, 전기이륜차 다량 구매 후 미운행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사업계획서 제출 의무기준을 기존 구매대수 10대에서 5대로 강화했다.
시는 전기차 보조금을 축소하는 대신 취약계층에 대한 전기차 전환 지원은 강화했다. 기존 국가유공자‧장애인‧다자녀 가구에 대한 추가보조금을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상향했다.
신청대상은 접수일 기준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하거나 주사무소로 사업자등록을 한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공공기관 등이다.
구매자가 자동차 제작·수입사와 구매계약을 체결하고 3개월 이내 출고 가능한 차량에 한해 구매 지원 신청을 하면 된다.
현재 출시된 전기차는 승용차 57종, 화물차 16종, 이륜차 77종이다.
이번 추가 보급물량 총 11,201대는 ▴민간(개인‧법인‧기관) 부문 10,582대 ▴버스·택시 등 대중교통 부문 619대이다. 차종별로는 ▴승용차 9,139대 ▴화물차 495대 ▴이륜차 948대 ▴택시 330대 ▴버스 289대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