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정 통계보다 1년 앞서 공개
6억 5,450만 톤, 2010년 이후 최저 수준
 |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자료=환경부) |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내년 말 예정된 ‘202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확정에 앞서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공개했다.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 5,450만 톤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한 2021년과 달리, 에너지정책 변화의 효과와 함께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하면서, 전년 대비 국내총생산(GDP)이 2.6% 증가하는 상황에서 배출량은 오히려 3.5% 감소했다.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배출 정점인 2018년의 7억 2,700만톤보다 10% 감소한 수치이며,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원단위)’도 전년보다 5.9% 감소한 332톤/10억 원으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 배출량 변화를 살펴보면, 전환 부문에서 970만 톤, 산업 부문에서 1,630만 톤, 수송 부문에서 80만톤, 폐기물 부문에서 10만 톤이 각각 감소했다.
건물 부문에서는 140만 톤, 농축수산 부문에서는 30만 톤이 각각 증가했다.
우선 전환 부문에서 총발전량은 전년 대비 3% 증가했으나, 원전 발전량 증가(158.0TWh → 176.1TWh),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43.1TWh → 53.2TWh), 석탄 발전량 감소(198.0TWh → 193.2TWh) 등을 통해 배출량은 전년 대비 4.3% 감소한 2억 1,390만 톤으로 추정됐다.
산업 부문은 전 세계 시장의 수요감소로 인한 철강 및 석유화학 부문 생산 감소 등의 영향으로 배출량이 전년 대비 6.2% 감소한 2억 4,580만 톤으로 추정됐다.
수송 부문은 휘발유 소비량이 증가(4.2%)했으나 경유 소비량 감소 (△3.6%)와 무공해차 보급 확대(67.2%) 등으로 배출량이 전년 대비 0.8% 줄어든 9,780만 톤으로 추정됐다.
건물 부문은 서비스업 생산활동 증가와 겨울철 평균기온 하락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소비량이 증가(5.3%)하면서 동 부문의 배출량이 전년 대비 3.0% 늘어난 4,830만 톤으로 추정됐다.
농축수산 부문은 육류 소비 증가에 따른 가축 사육두수 증가(한‧육우 4.1%)를 벼 재배면적 감소(△0.7%)가 일부 상쇄하면서 배출량이 전년 대비 1.0% 늘어난 2,550만 톤으로 추정됐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