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기선 기재차관, 외환건전성협의회 주재
 |
▲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외국계 투자기관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대내외적인 외환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위험요인에 대해 선제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다만 국내 외화유동성 상황에 대해선 양호하다는 평가다.
◆ “은행·비은행권 외화유동성 양호”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20일 오전 국제금융센터에서 열린 ‘외환건전성협의회’를 주재하고 “대외부문 리스크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큰 만큼 관계기관 간 빈틈없는 공조를 통해 외환부문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외환건전성협의회는 외환부문 거시건전성 관리를 담당하는 관계기관간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신설된 협의체로, 이날에는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현황, 최근 환율상승 등에 따른 금융기관 건전성 관련 리스크 요인 등을 집중 점검했다.
방 차관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 전망이 큰 폭 상승해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국내은행의 외화유동성 상황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모습”이라며 “비은행(증권·보험사) 금융회사의 전반적인 외화유동성 상황도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이날 참석한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관계기관들은 당분간 국내 외환부문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에 불확실성이 큰 만큼, 국내 금융기관들의 외화조달·소요 현황, 외화차입 여건 등에 대해 더욱 면말한 점검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방 차관은 “외환건전성협의회를 통해 모니터링 지표들을 심층 점검하고 관련기관간 감독 결과 등에 대한 정보공유를 강화할 것”이라며 “외환건전성 정책방향을 긴밀히 협의하고 조정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또한 관계기관들은 외환 리스크 관련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생 가능한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시장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등 향후 대응방향을 모색해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