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정보 이용 의구심…“시에서 나서야”
![]() |
▲대구 연호지구 개발 구상도. (사진=대구시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류종민 기자] 대구시 수성구 연호 공공주택지구 일대도 택지지구 지정을 앞두고 토지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토교통부 토지거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연호 공공주택지구(연호지구) 지정을 앞둔 2017년 토지매매량은 이천동 82건, 연호동 70건 등 152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2016년 이천동 36건, 연호동 46건 등 총 82건보다 70건이 많은 수치다.
대구시는 2018년 5월 수성구 연호동, 이천동 일원 89만7000㎡에 9300여명을 수용하는 ‘대구 연호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위한 주민 등 의견청취 공람 실시를 고시했다. 연호지구에는 법원, 검찰청 등 법조타운(지원시설 포함)과 주거단지 등이 조성된다.
대구대공원 예정지인 수성구 삼덕동도 2010년 28건, 2011년 6건 등 2014년까지 연평균 토지매매 건수는 20여건에 불과했지만 2015년 51건, 2016년 72건으로 급증했다. 대구시는 2017년 대구도시공사에 대구대공원 사업을 요청했다.
이에 수성구 일대 토지매매는 개발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투기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며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사회시민단체 관계자는 "대구시가 먼저 나서서 조사해야 한다"며 "셀프 조사가 안 되기 위해 외부 전문가도 참여시켜야 하고 대구도시공사 등에만 맡겨두지 말고 대구시 감사실이 나서서 집중감사제도 등을 적용해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상식적으로 LH, 도시공사 직원들만 했겠느냐"며 "구체적인 의혹이 없다고 할 것이라도 공무원, 정치인 등 모두 의혹이 있다고 봐야하는 사안이므로 강도 높은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