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증가세 둔화’ 이유
 |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2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는 최근 국내 코로나19 재유행 정점에 대해 기존 예상보다 확진 규모를 낮춰잡았다. 또한 정점의 시점도 조기 형성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정부는 당초 예상규모인 25~30만 명 수준까지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 “백신·치료제로 독감 수준 관리 가능”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29일 오전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통해 “당초 예상보다 BA.2.75 변이의 영향이 크지 않고 최근 증가세도 다소 둔화됐다”며 “이에 예상보다 낮은 20만 명 수준의 정점이 조기 형성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망자의 경우 델타 변이 유행 당시와 유사하거나 3월 오미크론 유행 당시 최대인 400명대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관측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방접종 효과가 줄어들고 기존 감염자의 자연면역이 감소하는 시기가 다가오면서 유행 규모가 다시 증가할 가능성에도 대비가 필요하다고 평가한다”고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일 최대 30만 명 확진에 대비한 추가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정부의 행정명령 발동으로 최대 1,435개 병상을 우선 확보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날 기준 병상 1,435개 가운데 810개가 마련됐다. 특수병상은 분만 250→321개, 투석 288→428개 늘어났으며, 소아전담병원도 기존 246개 병원에서 1,688곳으로 증가한 상황이다.
30만 명 확진에 대비해 이달 내로 원스톱진료소를 1만 개소로 확대할 방침이다. 다만 현재 기준 7,729곳 확보된 상태다.
정부는 위중증 및 사망을 막기 위한 ‘먹는치료제’ 처방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이에 현재 1,000개소 수준인 치료제 공급 약국을 내달 첫 주까지 2,000개소로 2배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먹는치료제 94만2,000명분에 대한 추가 구매 계약이 내주 완료된다. 해당 물량은 올해 하반기부터 도입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개량백신 도입 현황 등을 반영해 8월 말 하반기 접종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내달 1일부턴 재택치료자 고위험군을 집중관리군으로 정해 특별관리해온 것을 없애고, 증상 발생 시 즉각 원스톱 진료기관을 방문해 신속히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선 백신·치료제를 적극 활용해 코로나19 치명률을 독감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독감 치명률은 0.03%인데 오미크론 6차 유행 치명률은 0.06%”라며 “치명률을 두 가지 방법으로 줄일 수 있다. 4차 백신을 맞으면 고위험군 치명률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치료제를 쓰면 또 50%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