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단계 확진자수 충족-재생산지수 등 적신호 지속
 |
▲ 8일 오전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700명으로 나타났다. 서울 한 선별검사소에 시민들이 줄지어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개월여 만에 무려 700명 대로 치솟은 가운데, 4차 대유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방역 관련 각종 지표가 오랜 기간 악화됨에 따라 이미 네 번째 유행이 시작됐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 8일 오전 0시 기준 700명 신규 확진
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700명을 기록했다. 이처럼 700명 이상 신규 확진자가 발생한 것은 3차 유행이 진행 중이던 지난 1월 7일 869명 기록 이후 91일 만의 일이다.
방역당국의 ‘아직은 4차 유행 시기가 아니다’라는 설명에도 전문가들의 위험 신호는 지속되고 있다. 실제 3차 유행 양상과 최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취지다.
앞서 3차 대유행 초기였던 지난해 12월 11일 신규 확진자 수가 689명을 기록한 뒤 다음 날인 12일 950명으로, 13일 1,030명으로 결국 네 자릿수를 보였다. 이후 그달 16일~20일 사이 1,00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 연속적으로 발생했다.
최근 상황을 보면 지난달 31일 이후 5일 연속 500명 대를 유지하다가 지난 7일 668명, 이날 700명을 기록했다. 특히 해외유입 제외 국내발생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 평균 543.3명까지 오르면서 지역사회에 만연한 감염 상황을 입증하고 있다.
방역 관련 각종 지표에서도 상황의 심각성을 더한다.
우선 감염재생산지수가 이미 1을 넘어선 상태다. 이는 1명의 확진자가 감염시키는 전파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1 이상이면 1명의 확진자가 최소 1명 이상을 전염시킨다는 얘기다. 방역당국이 이 지수를 1 미만으로 떨어뜨리려 노력하는 이유다.
게다가 ‘깜깜이 환자’ 비율도 악화 추세다. 지역 무증상 확진자를 간접 파악할 수 있는 감염 경로 조사 중 확진자 비율은 최근 2주 동안 전체 확진자의 26.4%에 달했다. 확진자 5명 중 1명 이상은 감염경로를 알 수 없다는 의미다.
결국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등 선제적 방역 조치로 4차 대유행에 대비해야 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현재 수도권 거리두기 2단계. 비수도권에는 1.5단계 상황이 각각 유지 중이다. 다만 확진자 증가세를 보인 대전‧부산‧진주‧전주 등 지자체 자체적으로 2단계 격상을 시행 중인 곳도 있다.
방역당국 기준에 따르면 1주간 평균 신규 확진자수가 400~500명이면 2.5단계 격상이 가능하다. 이미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달 11일부터 400명을 넘긴 상황으로, 지난 6일부터는 사흘 연속 500명도 초과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조치가 오는 11일 종료됨에 따라 내일(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12일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