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3일~15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스타트업, 글로벌 투자기관과 80여개 프로그램 기획, 운영…기업부스 100개 확대

[세계로컬타임즈 이효진 기자] 서울시는 전 세계 유망 스타트업과 대·중견기업, 투자자·액셀러레이터 등 창업생태계 구성원들이 함께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대축제 ‘트라이 에브리씽(Try Everything) 2023’를 개최한다.
9월 13일부터 15일 3일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최한다.
서울시는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2019년 개최한 ‘스타트업 서울: Tech Rise’를 시작으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모든 것을 시도한다’는 스타트업의 도전 정신을 상징하는 ‘트라이 에브리씽(Try Everything)’이란 이름으로 매년 9월 글로벌 스타트업 대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약 6만여 명이 온‧오프라인을 통해 참여했던 ‘Try Everything 2022’에서는 더 샌드박스(The Sandbox) 공동설립자인 세바스티앙 보르제(Sebastien Borget)와 조지메이슨대 타일러 코웬(Tyler Cowen) 교수가 기조연사로 참여해 스타트업과 창업생태계 구성원들에게 인상깊은 통찰력을 제공했다.
또한 대‧중견기업-스타트업 간 상생협력을 위한 ‘서울 오픈이노베이션 1000 비전’ 선포를 비롯해 스타트업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위한 투자유치(IR) 피칭(Pitching) 및 국내외 유명인사들의 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진행됐으며, 총 625억 원의 스타트업 투자 유치 성과를 기록했다.
2023년 ‘트라이 에브리씽(Try Everything)’은 해외 네트워크를 강화해, 서울 스타트업이 글로벌 진출에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는 것에 방점을 둔다.
이를 위해 글로벌투자회사 EQT, 장강경영대학원(CKGSB) 등 글로벌 협력기관의 참여 확대를 통해 해외 투자 유치 및 진출을 돕는 한편 글로벌 창업생태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다양한 창업 전략을 공유할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경기 둔화가 우려되는 상황임을 고려해 어느 때 보다 투자유치에 집중해 이번 행사를 통해 700억 원의 투자를 유치전에 나선다.
스타트업 전시 부스를 작년 50개에서 2배 규모인 100개로 대폭 확대하고, 투자유치를 위한 기업과 투자자 미팅(밋업(meetup))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투자 유치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오프라인 전시(8월8일까지), 상시 밋업과 1:1 밋업(8월25일)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은 8월까지 신청할 수 있다.
스타트업으로서 지식재산권(IP) 창출, 국내외 투자유치, 글로벌 시장 판로개척 및 해외 시장 진출 등 우수사례 보유 기업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오프라인 전시를 희망하는 기업은 8월 8일까지, 온라인 전시를 희망하는 기업은 9월 11일까지 트라이 에브리씽(Try Everything) 홈페이지를 통해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
맞춤형 상시 밋업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은 트라이 에브리씽(Try Everything) 홈페이지와 서울시 창업 통합 플랫폼 ‘스타트업플러스’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또한 국내외 투자자와 1:1 밋업을 희망하는 스타트업은 8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트라이 에브리씽(Try Everything)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올해는 코로나 엔데믹 선언 이후 개최되는 첫 행사인 만큼 체험형 전시 부스를 통해 서울 스타트업의 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대학생 및 예비 창업자들을 위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확대해 스타트업 관계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행사장을 방문한 참관객들은 올해 새롭게 도입된 인공지능과 증강현실(AI/AR) 기반의 ‘체험형 기획전시관’을 방문해 스타트업의 기술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00여 개의 스타트업 전시 부스를 통해 서울의 우수한 스타트업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 청년 기업가들을 위한 ‘창업 버스킹’, 퀴즈를 통해 스타트업 지식왕을 뽑는 ‘스타트업 토너먼트 퀴즈쇼’, 시민들이 뽑은 ‘유망 스타트업 어워즈’ 등 시민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 밖에도 국내외 유명 인사들의 강연, 글로벌 대기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 국내 주요 창업플레이어 협력 프로그램 등이 마련돼 있으며 세부 프로그램 정보는 추후 홈페이지를 통해 지속 제공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