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지엠 창원공장 모습. <사진제공=경남도청> |
경남발전연구원에서 먼저 한국 GM 철수설에 대한 동향을 보고했다.
지난 13일 한국 GM이 5월까지 군산공장을 폐쇄한다고 밝힌데 따라 창원공장에 미치는 영향을 걱정한 것이다.
경남발전연구원에서는 “한국 GM은 지난해 52만여대를 생산해 2013년의 78만대에 대비해 33.6%가 감소했는데 판매부진과 이에 따른 실적악화가 장기간 쌓여왔다”며 “한국 GM은 국내에 창원과 부평, 군산과 보령에 공장을 두고 있는데 올란도 등을 생산하는 군산공장은 지난해 월 평균 가동일이 7일 정도에 머물렀으나 스파크와 라보, 다마스를 생산하는 창원공장은 20일 이상을 가동해서 상황은 좀 나은 편”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경영악화가 계속되고 있고 일각에서는 한국 GM의 철수설까지 흘러나오고 있어 특별한 관심과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창원공장에는 2000여 명이 일하고 있고 1차 협력업체 30여 개 등 수많은 2∼3차 협력업체가 있어 경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경호 권한대행은 “우선적으로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며 정부와 채권은행단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경제는 심리인데 아직 한국 GM 창원공장에 대한 GM 본사나 정부의 입장이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금융권에서 대출심사를 강화한다든지 하면 멀쩡한 협력업체도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며 “이런 부분의 동향도 관리해가면서 대응전략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한 대행은 “한국 GM 창원공장이 경남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서 각별한 관심을 가져달라”고도 했다.
이에 경남도는 지난 14일 경제통상국장을 총괄반장으로 한 ‘한국 GM 창원공장 관련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으며 20일에는 경상남도 노사민정협의회를 열어 경영계와 노동계, 전문가들과 함께 검토하고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