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서 조합원 약 4만명 집회 참가
 |
▲ 지난 27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건설노동자 조폭 매도 윤석열 정권 규탄, 범정부 대책에 대한 입장 발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최근 정부가 건설 현장에서의 불법행위를 근절하겠다며 단속을 강화한 가운데 건설노조는 정부 방침에 반발하며 대규모 집회 등 집단행동을 본격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월례비·초과근무 등 거부
28일 노동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건설노조는 최근 일련의 정부 압박에 반발해 이날 오후 서울 도심에서 조합원 약 4만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연다.
앞서 민주노총 건설노조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어 “건설노조에 대한 정부 탄압의 폭과 수위가 도를 넘어서고 있다”면서 “건설노조의 대응을 넘어 총노동 차원의 대응으로 투쟁전선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노조 측은 정부가 지목한 불법행위를 부추긴 것은 되레 건설사 쪽에 있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 건설노조는 “부정부패를 저지른 건설사에 대해선 아무런 말도 하지 않으면서 노조만 탄압하고 있다”며 “정부는 2017년부터 건설업계의 다단계 하도급 문제 개선, 적정 임금제 도입 등을 약속하고도 하나도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건설노조는 논란의 쟁점으로 떠오른 ‘월례비’와 관련해 법원 판결을 근거로 정당성을 부여했다.
이에 대해 건설노조는 “법원이 최근 월례비를 임금 성격이라고 판결했다”면서 “월례비는 공사 기간 단축과 위험작업 등에 관행적으로 지급한 근로의 대가”라고 주장했다.
다만 노조 측은 내달 2일부터 ‘월례비’ 수령을 거부한 데 이어 월례비를 대가로 일해 온 52시간 초과 근무, 안전 위반 작업도 하지 않겠다고 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건설노조 차원을 넘어 총노동 대응으로 투쟁전선을 확대하겠다는 의사도 명확히 밝혔다. 실제 타워크레인 차주는 물론 화물차와 레미콘 차량 등을 중심으로 파업 참여를 독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