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송파구 주민들이 사물인터넷 모듈이 탑재된 우유팩 수거함에 분 리배출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송파구청> |
[세계로컬신문 온라인뉴스팀] 서울 송파구(구청장 박춘희)는 사물인터넷(IoT)이 내장된 '우유팩 수거함' 150대를 7월부터 8개 아파트 단지에 도입한다고 27일 밝혔다.
구에 따르면 서울 시내에서 처음으로 시범 운영되는 '사물인터넷 우유팩 수거함'은 효율적인 분리배출을 통해 자원 회수율과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이 사업은 송파구와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오이스터에이블(ICT 벤처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해 실시한다.
외관은 기존의 재활용품 수거함과 유사하지만 전면부에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모듈'이 탑재돼 우유팩 바코드를 태그하면 ▲우유 종류 ▲팩 용량 등이 스마트폰 앱에 자동 전송된다.
일반 우유뿐만 아니라 주스, 두유 등 국내에서 유통되는 종이팩이라면 대부분 배출 가능하다.
구는 7월 말까지를 시범 운영기간으로 정하고 수거율 모니터링과 수거함 사용방법을 홍보, 8월부터는 배출 건수에 따라 스마트폰 앱을 통해 우유로 교환할 수 있는 스탬프를 찍어주거나 신용카드 포인트로 적립해 주는 등 배출 보상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유통되는 종이팩의 원료는 천연펄프로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종이팩은 일반 종이에 비해 품질이 뛰어나 고급 화장지, 냅킨, 벽지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회수율은 25% 수준에 그친다.
1년 동안 국내에서 사용되는 종이팩 양은 약 70억 개로 20년생 나무 140만 그루에 해당하며 이를 화장지로 만들면 대한민국 인구 1/3이 1년 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번 '사물인터넷 우유팩 수거함' 시범 도입 이후 연말까지 수거율, 주민 반응 등을 모니터링해 수거함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구는 종이팩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우유팩, 종이컵을 모아오면 1kg당 두루마리 화장지 1개로 교환해 주고 있으며 이 보상사업을 통해 올해 1∼6월까지 종이팩 총 27톤을 수거했다.
구 관계자는 "특수 코팅된 종이팩은 일반 종이와 재활용 공정방법·시간이 달라 일반 재활용 공장에 보내지면 폐기물 처리되므로 폐지와 꼭 분리 배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시범 사업을 통해 종이팩 회수율이 획기적으로 높아지면 환경보호, 외화 절약에도 도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주민들의 협조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