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발사만 남겨둬
 |
▲ 4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예래동 인근 해상에 위성이 하늘 위로 날아가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우리 군이 세 번째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민관 원팀을 이뤄 협력한 사례로 기록될 이번 발사 성공으로 이제 최종 발사만을 남겨두게 됐다.
◆ 650㎞ 고도서 궤도 안착
국방부는 4일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국방과학연구소(ADD)의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활용한 위성 발사가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한화시스템이 주관한 것으로,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 중인 고체 추진 발사체와 궤도진입 기반 기술 등을 토대로 민간기업이 발사체·위성을 제작해 실제 발사를 진행한 첫 ‘민관 원팀(One Team)’ 협력 사례다.
지난해 3월·12월 두 차례 시험발사한 데 이어 이번이 3번째다. 추진체에 탑재한 위성도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는 최종 개발 단계에 해당하는 1단 추진체를 장착, 4번의 단 분리를 거쳐 650㎞ 고도까지 올라가는 데 성공했다. 또 작년 12월에는 발사체에 모형인 더미 위성을 실어 쏘아 올렸지만, 이번에는 실제 지구관측용 소형 위성이 실렸다.
이 위성은 레이더를 활용해 영상을 확보하는 SAR 위성으로 무게는 101㎏ 정도다. 해상도는 1m 남짓으로 정찰위성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다.
고체연료 발사체는 유사시 안보 수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며, 소형 위성을 적기에 발사 가능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우리 군사정찰위성 1호기가 지난주 발사된 데 이어 소형 위성 발사가 가능할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발사가 잇따라 성공하면서 향후 더욱 촘촘한 감시망을 확보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북한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등 안보위협을 지속하고 있다”며 “이번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발사 성공은 한국형 3축체계의 핵심인 우주기반 감시정찰능력 확보를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