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월 대비 136.5% 대폭 증가
 |
▲ 내달 전국에 2만8천여 가구가 신규 공급될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 남산공원에서 내려다본 도심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 완화 기조에 분양시장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오는 4월 전국에 2만8,000여 가구가 공급될 전망이다.
◆ 수도권 물량 과반 이상
30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의 조사에 따르면, 4월 전국에서는 총 38곳·3만6,733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 1순위 청약 접수일 기준)가 공급될 예정으로 집계됐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미정 제외)은 전국 2만7,831가구로, ▲수도권 1만7,538가구(63%) ▲지방 1만293가구(37%)다. 특히 수도권 물량이 과반수에 달했다.
이번 4월 물량은 전년과 비교하면 수도권과 지방 모두 대폭 늘었다.
지난해 같은 달 청약홈에서 접수를 받은 특별공급 제외 일반분양 물량은 △전국 1만1,767가구였으며 △수도권 6,151가구 △지방 5,616가구였다. 이와 비교하면 올해는 △전국 1만6,064가구 증가(136.5%) △수도권 1만1,387가구 증가(185.1%) △지방 4,677가구 증가(83.3%)했다.
서울에서는 강북구, 동대문구, 은평구 3개 구에서 4곳·일반 2,644가구가 분양에 나선다. 분양 규모 순으로 △이문 아이파크 자이(1,483가구) △휘경자이 디센시아(700가구) △신사1구역 두산위브(235가구) △미아 부지 개발(226가구) 순이다.
지난해 말부터 정부는 취득세 중과세율 손질, 무순위 청약 관련 제약 등 다양한 규제 완화를 순차적으로 이어가는 중이다. 그리고 이번 4월에는 분양권 전매제한 완화 시행이 예정됐다.
전매 제한은 과거 불(bull)장 시절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강화됐던 바 있다. 그러나 4월 초부터는 종전 수도권 최대 10년→3년, 지방 최대 4년→1년으로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기존 분양 단지들에도 소급 적용되기 때문에 이번 조치로 분양시장에 훈풍이 불 것이란 업계 전망이 나온다.
다만 실거주 의무 폐지는 아직 국회 계류 중이다. 실거주 의무와 전매제한에 대한 규제는 함께 풀려야 실효성이 클 것으로 기대되는 조합이라는 점에서 정부는 우선 국회 상황을 지켜보며 추진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