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별 다양한 실증 사업 추진
 |
▲ 이르면 올 하반기 '드론 택배'가 상용화할 전망이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이르면 올 하반기 배송기사가 아닌 드론이 택배 물품을 전달하는 광경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택배 배송이 어려운 도서지역을 시작으로, 전국 15곳 지자체를 통해 ‘드론 택배’ 상용화에 나선다.
◆ 사업 규모·내용별 국비 차등 지급
국토교통부는 항공안전기술원과 함께 올해 드론실증도시 공모를 통해 서울시와 제주도 등 15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1월20일부터 40일간 드론실증도시 공모를 실시한 바 있다. 이 결과 40개 지자체가 응모했고 최종 15곳이 선정됐다.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에서 실증환경, 수행능력 사업화 및 상용화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선정된 지자체는 ▲서울시 ▲인천시 ▲울산시 ▲제주특별자치도 ▲경기 성남시 ▲강원 영월군 ▲충북 음성군 ▲충남 서산시 ▲태안군 ▲전북 전주시 ▲남원시 ▲전남 고흥군 ▲여수시 ▲경북 김천시 ▲경남 창원시 등이다.
이들 지자체는 사업 규모·내용 등에 따라 국비를 차등 지원받게 된다.
먼저 제주특별자치도는 가파도 130여 가구를 대상으로 하반기 중 국내 최초 유상 드론 배송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드론 배송의 필수 인프라인 이·착륙장 구축, 드론비행로 설정, 드론식별시스템 및 드론안전관리체계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경기 성남시는 중앙공원과 탄천 주변에 드론배송지점을 설치하는 한편, 공원 내에서 편의점 물품 주문시 드론으로 유상 배송한다.
울산시는 원자력발전소 재난에 대응한 방호물품 드론 운송 운용모델을 실증한다는 방침이다. 김천·전주·영월·태안 등에선 도서·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드론이 투입된다.
인천시의 경우 100㎏을 운송할 수 있는 대형 드론을 개조해 해상 구조에 필요한 장비·물품을 운반하는 실증작업을 수행한다. 오는 10월 국제항공스포츠연맹 드론 레이싱 세계대회가 열리는 남원시에서는 첨단 드론 스포츠 시스템 개발 및 실증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2019년부터 드론 활용사업의 가능성을 높이고, 지자체의 다양한 지역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모델을 시험·적용하기 위한 드론 실증도시 사업을 확대 지원해왔다. 이에 정부는 그간의 성과를 통해 사업화에 필요한 ‘드론배송 사업’ 등 우선과제를 사전 공지하고 지자체 참여를 유도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