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능직 전 직원 대상
 |
▲ 전국화학노조 산하 푸르밀 노조가 지난 26일 서울 영등포구 푸르밀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정리해고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내달로 사업 종료가 임박한 푸르밀이 일반직과 기능직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자 모집 공고를 낸 데 대해 노조 측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정리해고 관련 2차 교섭을 앞두고 일방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 “정부, 이번 사안에 관심 가져야”
김성곤 푸르밀 노조위원장은 이번 공고와 관련해 “이렇게 일방적으로 고지할 거면 2차 교섭을 왜 하자고 한 것인가”라며 “회사는 시간을 끌며 상황이 잠잠해지길 기다리는 것 같다”고 28일 밝혔다.
이어 “지역 경제와 관련 산업에 직결된 만큼 정부·정치권 등은 이번 사안에 대해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노조 측은 지난 17일 사측이 아무런 사전 논의도 없이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이메일 정리해고 통보’에 대한 불만도 드러내고 있다.
노조는 “푸르밀이 국정감사 증인신청을 피하기 위해 환노위 국감 종료를 앞둔 시점 기습적으로 이메일 정리해고 통보를 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면서 “환노위의 마지막 국감은 10월 24일이었고 증인을 부를 수 있는 기한인 17일 푸르밀은 일방적으로 정리해고를 통보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결국 푸르밀 신준호 회장과 차남 신동환 대표는 국정감사를 교묘히 비껴갔다”며 “푸르밀 사태는 국감에서 제대로 다뤄지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범롯데가’로 분류되는 유가공기업 푸르밀은 지난 17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내달 30일 자로 사업을 종료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정리 해고를 통보하는 메일을 발송했다.
사측은 당시 메일에서 “4년 이상 적자가 누적돼 특단의 대책을 찾아봤지만, 현재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없어 부득이 사업을 종료하게 됐다”며 “불가피한 사정에 따라 정리해고를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노조는 지난 23일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는 등 회사의 사업종료와 해고 통보가 부당하다며 거듭 반발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태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