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가격 인하로 초기 부담 덜어주는 게 가장 큰 ‘당근’
![]() |
▲대전도시공사 박남일 시장. |
[세계로컬신문 라안일 기자] 대전도시공사 박남일 사장이 롯데 컨소시엄과의 협약 해지로 사업지연이 우려되는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이 당초 계획대로 이뤄질 것이라고 단언했다.
유성복합터미널 부지와 이를 살 자금이 준비돼 있는 만큼 8월부터 토지보상을 시작하고 연내 사업자 재선정 절차를 마무리하면 2019년 완공은 문제없다는 입장이다.
박남일 사장은 20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전날 대전시와 도시공사가 유성복합터미널의 2019년 완공계획이 1년 정도 지연될 수 있다고 전망한 것과 달리 ‘땅’과 이를 살 ‘돈’이 준비된 만큼 당초 계획대로 사업이 완료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박 사장은 롯데컨소시엄 철수로 사업이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사업이 늘어질 이유가 없다. 땅을 사는 기간 안에 사업자 선정을 하면 큰 문제가 없다. 땅을 사들여야 시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기간이 허송되거나 잃어버린 세월이 아니다”라며 “토지보상을 하면서 사업자 공고를 병행하겠다. 평수도 정해져 있고 기능도 뼈대가 다 나왔기 때문에 절차상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분명한 것은 (유성복합터미널이)시민의 숙원사업이기 때문에 계획대로 진행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예산도 준비됐고 지금까지 경험을 토대로 부족한 부분을 보강해서 갈 것이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만큼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피력했다.
박 사장은 토지보상과 관련 800억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바라봤다. 재원은 19일 공사에서 밝힌 거와 같이 공사가 분양해 입주를 앞둔 노은3지구 트리플시티 포레아파트에서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토지보상은 800억 정도 잡고 있다. 돈은 노은3지구 포레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계약금만 받은 상태다. 나머지 받을 돈을 토지보상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 사장은 우선협상자 재선정을 위해서는 용적률 상향보다는 부지가격 인하가 더 좋은 ‘당근’이 될 것이라고 했다. 부지가격 인하는 사업 초기 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용적률 향상은 150만 인구에 걸맞는 규모인지 살펴보고 적정선에 맞출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박 사장은 “업체들이 뛰어들 수 있는 가장 큰 메리트는 부지 가격을 싸게 해서 기존 1000억 정도 들어가는 부담을 줄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용적률을 800%까지 올리겠다는 검토방안에 대해서는 “무조건 늘린다고 좋은 게 아니고 적정선이라는 게 있다. 예를 들면 서울의 강남터미널 같은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대전광역시 150만 인구에 걸맞는 규모로 가야 한다고 본다”며 “과잉 욕심은 화를 부를 수 있기 때문에 적정선에서 맞춰야 한다. 크다고 좋은 게 아니고 주차가 원활하면서 고객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지하철과의 연계성 이런 것들을 검토하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