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곳 중 4곳만 계획…비대면 채용방식 걸림돌
 |
▲ 올해 신규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은 전체 10곳 중 4곳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박병오 기자] 코로나19발(發) 고용 한파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올해 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4곳만 신규 채용 계획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채용 방식에도 비대면이 확산됐으나, 우리 기업들은 아직 이같은 방식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100인 이상 기업 504개사를 대상으로 ‘2021년 신규채용 및 언택트(비대면) 채용 활용실태 조사’를 시행한 결과 올해 신규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전체의 40.3%에 그쳤다고 13일 밝혔다.
아직 신규채용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률은 33.9%였으며, 계획이 없는 기업도 25.8%에 달했다.
올해 신규채용 규모와 관련, 채용 계획을 세운 기업들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 37.9% ▲전년 대비 축소 37.4%로 각각 응답해 전반적인 채용 규모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확대하겠다는 응답을 내놓은 기업은 24.6%였다.
이들 기업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으로는 ‘원하는 능력을 갖춘 지원자 부족’이 60.0%로 최다를 이뤘다. 뒤를 이어 ▲합격자 입사 포기 및 조기 퇴사(17.4%) ▲임금 등 지원자 요구 충족 어려움(16.8%) ▲지원자가 지나치게 많이 몰림(4.2%) 등 순이었다.
최근 우리 사회에 비대면 문화가 속속 정착된 가운데 채용 방식에서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 기업의 불과 13.9%만이 비대면 채용 도입 방침을 밝힌 것이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500인 이상 기업이 21.0%로 도입률이 가장 높았다. ▲300~499인 기업(14.2%) ▲100~299인 기업(10.4%) 등이 뒤를 이었다.
비대면 채용 도입 기업들은 ‘심층적 평가 곤란’(41.4%)을 최대 단점으로 인식했다. 이외에 ▲통신장애 등 변수 발생(20.0%) ▲별도 시험환경 구축 필요(11.4%) ▲부정행위 발생 우려(2.9%) 등 응답도 나왔다.
비대면 채용을 하지 않는 기업들에서도 ‘심도 있는 평가가 어려울 것 같아서’(51.6%)가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됐다.
한편 경총은 이번 비대면 채용 기준과 관련해 필기·면접 등 채용 절차 중 하나라도 비대면이라면 비대면 채용으로 간주했다.
경총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전반에 비대면 방식이 확산하고 있지만, 실제 기업 현장에서의 비대면 활용은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