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종 기간 4주→6주 연장
 |
▲ 지난 7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국내로 들어온 모더나 백신을 관계자들이 옮기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코로나19 백신 관련 모더나사 제품의 국내 공급이 또 다시 지연됐다. 이에 따라 국내 백신접종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정부는 모더나사에 강력히 유감을 표하는 한편, 백신접종 기간은 기존 4주에서 6주로 재연장됐다.
◆ 8월 계획 ‘절반 이하’ 공급
정부는 9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모더나 백신 접종 지연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모더나사 측은 최근 백신 생산 관련 실험실 문제 여파로 8월 공급이 계획된 물량인 850만회분 대비 절반 이하로 공급될 예정이라고 밝혀왔다”고 했다.
앞서 모더나는 지난달에도 공급 예정이던 백신 물량 일부를 이달 지연 배송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한 바 있다. 결국 이번 모더나사의 공급 지연은 두 번째로, 지난 6일 기준 이달까지 국내 도입목표 물량은 총 2,225만회분이었지만 이날 2,120만회분으로 줄었다.
정부는 앞서 모더나사와 총 4,000만회분(2,000만명분)의 백신구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특히 모더나 백신은 화이자와 동일한 mRNA 형태로, 이날 기준 234만3,000회분이 들어온 상태다.
백신 공급 일정에 차질이 빚어짐에 따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하 추진단)은 모더나·화이자 등 mRNA 백신의 접종 간격을 한시적으로 6주 연장할 방침이다.
추진단 측은 “오는 16일 이후 mRNA 백신 2차 접종 예정자는 1차 접종일로부터 접종 간격을 6주까지 연장해 시행한다”고 말했다.
mRNA 백신 가운데 화이자는 3주, 모더나는 4주 간격으로 각각 2회 접종받는다. 지난달 모더나사의 1차 공급 지연 사태에 따라 mRNA 백신 모두 한시적으로 4주 간격으로 운영해왔다.
그러나 이번 지연으로 16일 이후 2차 접종을 받는 대상자와 이날부터 사전예약이 시작된 18~49세는 6주 간격으로 백신 접종을 받게 될 전망이다.
다만 입시를 앞둔 고3 학생과 고교 교직원, 기타 대입 수험생 등은 기존 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어린이집·유치원과 초·중등 교직원 등 교육·보육 종사자는 2학기 개학을 앞두고 5주 간격으로 조정에 들어간다.
한편, 정부는 이번 백신공급 지연 사태를 초래한 모더나사에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대표로 하는 한국 공식대표단을 파견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또한 백신의 조속한 공급을 위한 방안 마련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모더나는 백신공급 문제가 전 세계적인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공급 차질에 대해 사과했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범정부 백신도입TF 팀장으로서 이번 공급 차질로 인해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친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면서 “추후 모더나사와의 협의를 통해 백신공급 일정과 그 외 백신공급을 신속히 구체화하고, 공개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안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