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내 부동산‧주식 투자 원인
 |
▲ 지난해 국내 가계 등 민간 부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가계‧기업 등 민간 부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주체들의 소득은 제자리걸음 수준임에도 빚만 쌓여나간 결과로 보인다. 특히 부동산이나 주식 투자를 위한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투자)’ 현상 심화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 215%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와 기업부채(자금순환 기준) 총합은 3,879조6,000억 원으로 전년(3,555조7,000억 원)에 비해 323조9,000억 원(9.1%) 폭증했다.
주택담보‧신용대출 증가 등 요인으로 가계빚은 지난해 1,726조1,000억 원을 기록,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7.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부채는 2,153조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이는 가계빚보다 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 셈으로,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자금 지원 등이 이어지며 기업들이 금융기관 기업대출(1,359조4,000억 원)을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5.3%나 늘린 영향이다.
지난해 말 명목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15.5%로, 전년 말(197.1%)보다 18.4%p 올랐다. 지난 1975년 첫 통계 이후 역대 최대 수치다. 명목GDP 성장률이 둔화된 가운데 가계‧기업부채 수치를 합한 민간신용이 오른 게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고용‧업황 부진 등 요인으로 경기회복이 차별적으로 진행될 경우 취약 가구 차주의 가계대출이나 실적이 악화된 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소득 개선 부진 등에 따른 소득 대비 부채부담 증가, 실적 악화로 인한 기업 재무건전성 저하, 건전성 지표와 실제 신용위험간 괴리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중장기적 관점에서 민간부채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