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국내 기업 대상 질의
 |
▲ 국내 다수 기업의 탈플라스틱 관련 구체적 행보가 명확하지 않은 가운데, 서울 한 아파트 단지에 PET병 등 플라스틱 분리수거 활동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국내 기업들의 이른바 ‘탈(脫)플라스틱’ 동참 의지가 견고하지 않다는 시민사회 조사 결과가 나왔다.
◆ 계획 이행시 2025년까지 ‘3만 톤’ 절감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국내 플라스틱 생산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업 19곳을 대상으로 ‘2025년까지 플라스틱 감축 계획’을 질의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질의 결과, 기업 19곳 가운데 6곳만 오는 2025년까지 구체적인 플라스틱 감축 목표량을 제시했다. 14곳 기업은 향후 플라스틱 감축 계획이 있다고 답변한 가운데, 나머지 8곳은 감축 목표 수치를 밝히지 않았다. 이외에 5곳 기업들은 무응답이었다.
답변한 14곳 기업 중 2025년까지 플라스틱 감축량을 연도별로 구체적으로 제시한 기업은 ▲남양유업 ▲대상 ▲매일유업 ▲서울우유협동조합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등 6곳이다.
이들 기업이 계획대로 플라스틱을 감축한다고 가정하면 3만184톤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절감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동참 의사를 명확히 한 6개 기업의 구체적 행보를 살펴보면, 먼저 남양유업은 테트라팩 우유에 포함된 빨대를 친환경 소재로 변경하고, 우유 묶음 포장재를 비닐에서 종이로 변경해 연간 약 60톤의 플라스틱을 감축하고 있다.
대상의 경우 용기 패키지 감량화 등 생산 단계에서의 플라스틱 감축을 통해 올해 5월 누적 기준 약 320톤의 플라스틱을 감축했다. 매일유업도 PE, PET 공병 경량화를 통해 연간 약 95톤의 플라스틱을 감축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서울우유협동조합은 플라스틱 빨대 등의 잡자재와 캡 스티커라벨을 제거하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OTHER 재질을 PP로 변경해 재활용성을 높였다. 아모레퍼시픽도 용기 경량화와 구조 리뉴얼을 통해 약 62톤의 플라스틱을 줄였다. 애경산업은 플라스틱 용기를 경량화하고, 리필을 활성화한 데 이어 2차·재포장에 사용된 포장재를 제거했다.
연간 플라스틱 감축 목표치는 제시하지 않았지만, 제품 포장재 변경 등 다양한 개선을 통해 플라스틱 감축량을 제시한 기업도 있었다.
CJ제일제당은 햇반 용기 구조 변경을 통해 플라스틱 사용량 40%를 감축해 연간 340톤 이상의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계획을 밝혔다. 동아제약의 경우 재활용성 증대를 위해 ‘가그린’ 제품의 유색 PET병을 무색으로 교체하는 등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였다.
롯데제과의 경우 내달까지 ‘칸쵸’, ‘엄마손파이’, ‘카스타드’에 사용된 플라스틱 트레이 포장재를 전면 제거해 연간 약 550톤 이상의 플라스틱 줄일 계획이다. 오비맥주도 카스 캔맥주를 포장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두께를 축소해 연간 약 90톤의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였다.
이번 환경운동연합 질의에 답변하지 않은 기업은 ▲LG생활건강 ▲빙그레 ▲코카콜라음료 ▲하이트진로 ▲해태에이치티비 등 5곳이다. 특히 하이트진로는 ‘진로이즈백’, ‘테라’ 등 비표준 용기 등 환경적으로 논란이 있는 기업임에도 2년째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환경운동연합은 “환경단체의 공개 질의에 무응답으로 일관하는 이러한 기업들의 행태는 환경적 책임은 물론이고 사회적인 책임도 전혀 지고 있지 않은 것”이라며 “과연 플라스틱 절감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기후위기 시대, 플라스틱을 제품 생산·제조 단계에서부터 줄이는 것은 국내 기업들의 주요 과제가 됐다는 문제 제기다.
환경운동연합 백나윤 활동가는 “전 지구적으로 플라스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탈플라스틱 사회를 위해 기업이 선도적으로 변화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도태된다는 심정으로 감축 노력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분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질의 대상인 19개 기업은 앞서 환경부와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자발적 협약’을 맺은 곳이다. 지난해에도 환경운동연합은 이들 기업에 2025년까지 플라스틱 감축 연간 목표 및 구체적 계획 등을 질의한 바 있다.
올해와 지난해 답변 비교 결과, 플라스틱 감축 연간 목표를 제시한 기업 수는 지난해 3곳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6곳으로 늘었다. 답변 내용에서도 지난해 기업 대부분이 ‘검토 및 연구 중’ 등 답변이 불분명했으나, 올해에는 이행 실적 및 감축 수단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평가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