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쪽방주민 주거·일자리 공급 통해 자립지원 지속
![]() |
| ▲ 서울시는 봄철을 맞아 노숙인‧쪽방주민 ‘겨울철 보호대책’ 끝내고 이들의 자립 지원에 나선다.(사진=서울시 제공) |
[세계로컬타임즈 이배연 기자] 서울시는 봄을 맞아 노숙인‧쪽방주민 ‘겨울철 보호대책’을 15일부로 끝내고 새로운 체제로 전환한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거리노숙인 저체온증 사고예방 및 쪽방촌 주민의 따뜻한 겨울나기 지원을 위해 지난해 11월 1일부터 실시한 겨울철 보호대책이 15일부로 종료되고 노숙인 대책 방향을 자립지원 체계로 전환한다.
서울시는 저체온증 사고예방은 물론,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쪽방촌 지역 화재예방을 위해 관련 대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했다. 또한 겨울철 추위로부터 거리에서 지내는 노숙인을 보호하기 위해 거리순찰·상담 활동을 강화하고, 응급잠자리를 마련해 보호하는 등 대책을 추진했다.
설 연휴기간에는 주말에 관계없이 매일 37개조 91명의 거리상담반으로 활동했고, 한파특보 발령기간에는 서울시 자활지원과 전 직원을 포함해 총 51개조 114명의 상담반이 현장을 돌며 노숙인들을 상담했다.
거리상담 활동을 통해 노숙인시설 이용안내 등 현장상담 1만3,733건, 응급환자 119신고 28건, 응급잠자리 이송 보호 9,549건, 시설입소 267건, 병원입원 156건, 침낭지급 769건 등 총 2만4,502건을 응급조치해 거리노숙인을 겨울철 한파로부터 보호했다.
아울러 하루 평균 740명의 노숙인은 거리상담반의 안내를 받아 서울시 응급잠자리를 이용, 추위로 인한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겨울철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쪽방촌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하기 전인 작년 10월부터 11월가지 안전점검을 실시해 전기 및 가스시설물 93개를 보수했다. 쪽방주민 중 고령이나 중증질환을 앓는 145명을 별도 선정, 1일 1회 간호사가 방문해 건강상태를 살폈다.
서울시 관계자는 “겨울철 노숙인·쪽방주민에 대한 특별보호대책을 15일부로 끝나지만 노숙인과 쪽방주민 보호, 자립지원 정책은 연중 계속된다”고 밝혔다. 이어 “노숙인의 자립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주거와 일자리”라며 “올해 예산 103억원을 확보해 노숙인과 쪽방주민에게 2,720개의 맞춤형 공공·민간일자리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