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달 광복절에 이어 내달 개천절에도 서울 도심에 대규모 집회가 신고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사진=뉴시스) |
[세계로컬타임즈 김영식 기자] 지난달 중순 이후 연일 세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여전히 코로나19 확산세가 사그라들지 않은 가운데 지난 광복절에 이은 ‘개천절’ 대규모 보수집회 신고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방역당국은 지난달부터 시작된 재확산의 주 원인 중 하나로 이른바 ‘광복절 집회’를 지목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개천절 집회가 강행될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상향 등 전 국민이 동참 중인 감염병 확산 저지 노력이 물거품되는 것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 전 국민적 방역 노력 물거품되나?
4일 경찰에 따르면 내달 3일인 개천절 서울 광화문 등 도심에서 적게는 수천명, 많게는 수만명에 달하는 대규모 집회가 신고됐다.
먼저 우리공화당 산하 ‘천만인무죄석방본부’는 세종로와 효자치안센터 인근에서 3만명 규모의 집회를 신고했다. 자유연대는 교보빌딩 앞, 광화문 KT건물 앞, 시민열린마당 앞, 경복궁역 인근에 각각 2,000명씩 서울 종로경찰서에 신고했다.
보수 성향 태극기혁명국민운동본부(국본)는 을지로입구역 인근에서 수천명 규모의 집회를, 진보 성향의 민중민주당도 광화문 KT건물 앞에 100명을 각각 신고했다.
앞서 서울시가 방역조치로 이미 10명 이상 집회를 금지함에 따라 이들 단체에 금지통고 처분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지난 광복절 당시 서울시 금지명령에도 보수단체들이 법원에 집행정지 행정소송을 냈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대규모 집회가 강행됐다.
결국 이번에도 같은 양상이 되풀이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집회 허용 당시 재판부는 신고된 것보다 실제 집회 시간이 짧고 참석인원이 소수라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그러나 전광훈 목사 등이 참여한 당시 각종 보수집회에는 실제 수천명이 참석하며 전국 n차 감염의 기폭제로 작용했다.
광복절 당시 집회에 참여한 보수단체 일부 회원들은 방역당국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휴대전화 전원을 끄고 카드 대신 현금을 사용하는 등 비상식적 언행을 보였다. 특히 마스크 미착용은 물론 경찰 폭행까지 서슴지 않으면서 사회적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개천절 집회’를 신고한 주최 측 일부에서는 경찰이 금지통고 처분을 내릴 경우 앞서와 마찬가지로 처분 불복을 의미하는 법원 행정소송 제기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세계로컬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